![구광모 LG 대표가 경기도 평택시 LG 디지털 파크 내 LG전자 HE연구소를 방문한 모습. [사진 LG]](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26/f5c22733-1303-435c-abf3-b4edb6ea87f6.jpg)
구광모 LG 대표가 경기도 평택시 LG 디지털 파크 내 LG전자 HE연구소를 방문한 모습. [사진 LG]
LG는 오는 30일부터 약 한 달 동안 구광모 ㈜LG 대표와 계열사 핵심 경영진이 참여하는 전략보고회를 연다고 26일 밝히면서, 향후 5년간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구 대표는 이번 전략보고회에서 각 계열사가 마련한 분야별 전략 방안을 경영진과 논의하고, 중장기 투자·채용을 계획한 대로 실행할 수 있게 독려할 예정이다.
총 투자액 106조원 중 48조원은 R&D에 투자한다. LG 관계자는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확고히 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선제적으로 준비하기 위해 과감하게 투자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한 달간 구광모 주재 전략보고회 열어
![LG화학 생명과학사업본부 연구원들이 신약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사진 LG]](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26/36bd57e7-0713-445a-b960-b3c390fd5236.jpg)
LG화학 생명과학사업본부 연구원들이 신약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사진 LG]
투자액의 40%에 달하는 43조원은 배터리·배터리 소재, 전장, 차세대 디스플레이, 인공지능(AI)·데이터, 바이오, 친환경 클린테크 등 미래 성장 분야에 투입한다. 절반에 가까운 21조원은 이 분야 R&D에 쓸 예정이다.
우선 배터리와 배터리 소재 분야에 10조원 이상 투자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충북 오창공장에서 원통형 배터리 등을 생산할 계획이다. 전고체 전지, 리튬황 전지 등 차세대 전지 개발에 주력하면서 배터리 데이터를 활용한 진단 등 배터리 생애주기(BaaS) 사업 같은 신규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LG화학은 세계 1위 종합전지소재 회사를 목표로 양극재, 분리막, 탄소나노튜브 등 배터리 소재 분야에 1조7000억원을 투입한다. 배터리 소재 육성을 위해 경북 구미에 양극재 공장을 건설하고 있으며 기술력을 갖춘 기업을 인수합병(M&A)하거나 조인트 벤처를 설립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배터리·전장·AI 등에 43조 투입
![LG의 인공지능 싱크탱크인 LG AI연구원. [사진 LG]](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26/ae416ef7-6cd0-4039-954e-06c714a80b24.jpg)
LG의 인공지능 싱크탱크인 LG AI연구원. [사진 LG]
이날 LG그룹은 매년 1만 명씩 직접 채용한다는 인력 육성 방안도 밝혔다. LG 관계자는 “앞으로 3년 동안 AI, 소프트웨어(SW), 빅데이터, 친환경 소재, 배터리 사업의 R&D 분야에 3000명 이상을 채용할 계획”이라며 “채용 계약학과, 산학 장학생, 인턴십 같은 프로그램으로 인재 양성 생태계 구축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신성장사업에 3000명 이상 채용
중소협력사의 입사 예정자를 대상으로 SW 무상 교육을 진행하며 채용장려금 지원도 늘릴 계획이다. LG 관계자는 이번 투자·채용 계획과 관련해 “기업의 생존과 직결되는 고객가치 혁신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하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라는 기업 소임을 적극적으로 실천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