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1% 친환경 노트북∙세제∙옷에 '프리미엄 환경표지' 붙인다

환경부가 부여하는 프리미엄 환경 표지

환경부가 부여하는 프리미엄 환경 표지

전기를 아끼는 노트북, 100% 생분해성 샴푸, 재활용 원단으로 만든 의류….
앞으로 이런 제품에 '프리미엄 환경 표지'를 붙일 수 있게 된다. 그동안 환경부가 부여하는 표지는 인증 문턱이 낮아 차별화가 되지 않았다. 때문에 환경부는 상위 1% 친환경 제품에 '프리미엄 환경표지'를, 상위 30%엔 일반 '환경 표지'를 붙이도록 2024년까지 제도를 강화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환경표지 대상제품 및 인증기준' 고시 개정안을 오는 7월부터 시행한다고 30일 밝혔다. 환경표지 인증은 지난 1992년부터 에너지 및 자원 소비를 줄이고 오염물질 발생을 최소화하는 제품에 로고를 붙이도록 한 제도다. 보다 엄격한 기준을 가진 프리미엄 환경표지 인증은 지난 2018년부터 함께 실시됐다.

노트북, 샴푸, 옷에 '프리미엄' 인증

이번 개정안의 골자는 6개 품목에 대한 프리미엄 환경표지 신설이다. 당초 프리미엄 환경표지는 페인트, 에어컨, 가구, 세척 서비스 등 4종만 받을 수 있었다. 이번 개정안을 통해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주방용 세제, 세탁용 세제, 샴푸·린스, 의류가 추가돼 대상 품목이 10종으로 늘어난다.

지난해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기대해(기후위기 대응해요) 패션쇼에 등장한 재활용 원단으로 만든 옷. 뉴스1

지난해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기대해(기후위기 대응해요) 패션쇼에 등장한 재활용 원단으로 만든 옷. 뉴스1

환경부에 따르면 노트북과 컴퓨터 모니터가 프리미엄 환경표지를 받기 위해선 세계 수준의 에너지 절감과 함께 5년간 핵심부품 공급을 보장해야 한다. 주방용 세제, 세탁용 세제, 샴푸·린스는 100% 생분해 물질로만 제조해야 프리미엄 인증을 받을 수 있다. 독일의 친환경 표지 제도인 '블루엔젤'보다 엄격한 기준으로 첨가하는 화학물질을 제한한다.

의류는 유해물질 함량을 유럽의 섬유 안전성 기준인 '오코텍스' 수준으로 엄격하게 정하고, 화학적 재활용이 가능한 폴리에스터 원사를 50% 이상 사용하도록 했다. 환경부는 앞으로 이런 프리미엄 환경표지 인증 대상품목을 2024년까지 58개로 늘릴 예정이다. 개인·가정용품, 가정용 기기·가구 등이 순차적으로 포함될 전망이다.


일반 인증은 상위 30%로 강화

농업용 필름, 종량제봉투 등 41종에 대한 일반 환경표지 인증 기준도 상위 30%로 강화된다. 회수가 곤란한 농업용 필름은 생분해되는 온도 기준을 58℃에서 20~28℃로 낮춰 인증 장벽을 높였다. 종량제봉투는 바이오매스를 40% 이상 포함하거나 폐재를 50% 이상 포함해 만들어야 환경 표지를 받는다. 엔진오일 등 자동차용품 포장재는 재활용 등급이 '우수' 이상이 되도록 했고, 수도계량기나 가구는 납 함량과 폼알데하이드 방출 기준이 강화됐다.

한편 환경부는 소비자 요구를 고려해 통컵(텀블러)과 다회용기 대여서비스의 인증기준도 신설할 예정이다. 시장성을 상실한 형광램프, 비디오 재생·기록기 등은 인증 대상에서 폐지하는 등 대상 품목도 대폭 재조정한다. 이상수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 사무관은 "에너지 효율성이나 오염물질 저감도 기준을 최신화해 친환경 제품의 차별성을 드러내도록 한 정책"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