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 명 필요한데 졸업생은 1400명”…4대 과기원 반도체 인재 양성 나선다

30일 오후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반도체 인재양성 간담회'가 열렸다. 왼쪽부터 박재근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장, 김동섭 SK하이닉스 사장, 국양 DGIST 총장, 김기선 GIST 총장, 김정호 KAIST 교수, 정은승 삼성전자 사장,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광형 KAIST 총장, 이용훈 UNIST 총장, 왕성호 네메시스 대표, 고서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정책실장, 황규철 DB하이텍 사장. [사진 과기정통부]

30일 오후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반도체 인재양성 간담회'가 열렸다. 왼쪽부터 박재근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장, 김동섭 SK하이닉스 사장, 국양 DGIST 총장, 김기선 GIST 총장, 김정호 KAIST 교수, 정은승 삼성전자 사장,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광형 KAIST 총장, 이용훈 UNIST 총장, 왕성호 네메시스 대표, 고서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정책실장, 황규철 DB하이텍 사장. [사진 과기정통부]

 
반도체 업계의 고질적인 인력난에 다소나마 숨통이 트이게 됐다. 과학통신정보통신부가 미래 반도체 핵심 인력 양성을 위해 4대 과학기술원을 활용하겠다고 밝히면서다. 

과기정통부는 30일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주요 대학 및 업계, 학회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고 내년부터 4개 과기원에 반도체 계약학과를 도입해 연 200명 이상의 인재를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국내 반도체업계는 매년 1만여 명의 반도체 인력을 선발해왔다. 이 가운데 1400명 정도만 반도체 관련 전공자였다. 게다가 향후 10년간 3만여 명의 반도체 인력이 부족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현장에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전문인력 부족”을 꼽는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내년도 예산 확보를 통해 시스템반도체 실무인력(학사급) 양성과 인공지능(AI) 반도체 고급인재 육성(석·박사급) 사업을 지원한다. 특히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향후 5년간 설계 전문인력 3100여 명을 양성한다는 방침이다. 

당장 산업계와 연계해 4대 과기원에 반도체 계약학과를 운영한다. 현재 KAIST에 신설된 반도체 계약학과를 통해 2023년부터 매년 100명 내외의 학사 인력을 선발할 계획이었다. 과기부는 여기에 더해 GIST에서 연 20명, DGIST에서 연 50명, UNIST에서 연 30명 등 100명을 추가로 선발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4대 과기원에서 연 220명 수준으로 배출하는 반도체 분야 석·박사급 인재도 5년 내 500명 이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 밖에도 산업계 출신 박사급 교수 채용을 늘리고 산학 협력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도 확대 추진하기로 했다. 또 과기정통부와 반도체 기업, 4대 과기원이 공동 참여하는 ‘반도체 인력양성 협의회’를 정례화해 지속적인 협력 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는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이광형 KAIST 총장, 김기선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국양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총장, 이용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총장이 참석했다. 산업계에서는 정승은 삼성전자 사장과 김동섭 SK하이닉스 사장, 황규철 DB하이텍 사장, 왕성호 네메시스 대표가, 학계에서는 박재근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장 등이 자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