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은 3일 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장에 조상준 변호사를 내정했다. 뉴스1
특수통 검사 출신인 조 실장은 2006년 현대차 비자금 수사 때 윤 대통령과 대검 중수부에서 함께 근무하며 본격 인연을 맺었다. 당시 ‘드림팀’으로 불리던 중수부에 함께 몸담았던 또 다른 이가 한 장관이다. 두 사람은 윤 대통령이 검찰총장으로 재직할 당시 각각 대검 형사부장, 반부패강력부장을 맡아 윤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했다.
검찰 간부 출신의 변호사는 “조 실장과 한 장관은 각각 윤 대통령의 왼팔, 오른팔로 불릴 정도로 가까운 사이였다”고 말했다. 또 다른 대검 간부 출신 변호사는 “매일 아침 회의가 끝나고도 윤 총장이 두 사람을 내보내지 않은 날이 많았다. 단순한 참모가 아니라 오랜 형제의 연을 맺은 사이”라고 했다.

2019년 10월 17일 당시 한동훈 대검찰청 반부패강력부장이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서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대검찰청 국정감사에서 백혜련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한 부장 오른쪽에 앉은 사람은 조상준 당시 대검 형사부장. 우상조 기자
국정원엔 장관급인 국정원장과 함께 네 자리의 차관급 정무직이 배치된다. 해외ㆍ북한 정보를 담당하는 1차장, 방첩 및 대공수사 담당 2차장, 사이버 담당 3차장, 국정원 내 조직과 예산을 담당하는 기조실장 등 4자리가 차관급 대우를 받는다.
이중 기조실장은 차관급 중 서열상 꼴찌지만, 실제론 국정원의 ‘2인자’로 불리는 핵심 자리다. 수천억 원에 달하는 공식 예산 외에, 비밀활동비ㆍ특수활동비 등 비공식 예산이 모두 기조실장의 승인을 거쳐 집행된다. 국정원 내부 인사 역시 기조실장이 총괄한다. 조직 장악에 필요한 돈과 인사를 모두 움켜쥔 자리가 바로 기조실장인 셈이다. 이 때문에 역대 정부에서도 국정원 기조실장에 권력과 가까운 외부 인사를 발탁하는 경우가 많았다.

윤석열 대통령은 3일 국가정보원 2차장에 김수연 전 국정원 대공수사국장을 내정했다. 뉴스1
윤 대통령은 국무총리비서실장엔 차장검사 출신인 박성근 변호사를 임명했다. 박 변호사는 한덕수 총리가 노무현 정부 총리로 재직하던 2007년 당시 총리실 산하 국무조정실에 파견돼 근무한 경험이 있다. 또 윤 대통령은 공정거래위원회 부위원장엔 윤수현 공정위 상임위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엔 박윤규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을 각각 임명했다. 두 사람은 내부 발탁 인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