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8회 지방선거에서 경기도 고양시 의원으로 당선된 천승아(19)씨(맨 오른쪽에서 두번째)
제8회 지방선거에서 경기도 고양시 의원으로 당선된 천승아(19·국민의힘) 당선인의 소감이다. 천 당선인은 2002년 11월생으로 만 19세이다. 이번 선거에 출마한 7명의 10대 후보자 중 유일하게 당선됐다. 1995년 지방선거가 도입된 이후 27년 만에 첫 10대 당선인이 됐다.
천 당선인은 1일 오후 기자와의 통화에서 '10대 당선인'이라는 시선에 부담감을 토로했다. 그는 "당선된 건 기쁘지만 사실은 10대 당선인, 10대라는 이유로 그런 프레임에 갇혀 주목받는 것 같아 부담스럽다"며 "처음에 정치에 도전한다고 했을 때 나이 때문에도 그렇고, 경험이 없다고 주변에서 걱정을 많이 하고, 우려가 컸다. 그런 우려를 극복하겠다"고 말했다.

제8회 지방선거에서 경기도 고양시 의원으로 당선된 천승아(19)씨가 선거 유세하는 모습
천 당선인은 지난해 말 공직선거법이 개정돼 출마 하한 연령이 만 25세에서 18세로 낮아지면서 배지를 달게 됐다. 이화여대 중어중문학과를 휴학한 대학생이다. 지난해 말 대통령 선거가 한창일 때 선거사무원으로 정치에 발을 들여놓은, 정치 입문 1년이 채 안 된 새내기이다. 이번에 국민의힘 고양시 비례대표 1번을 받았다. 다음은 일문일답.
어떻게 정치를 할 생각을 했나.
처음에는 정치가 어렵게 생각했는데, 김현아 고양(정) 당협위원장이 호기심을 갖게 해주고 자신감을 불어 넣어줬다. 대선 때 선거사무원으로 활동할 때 시의원과 얘기를 나누면서 '나도 이렇게 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천 당선인은 지난 4년간 지역도서관에서 영어 그림책 읽어주기, 고교 때 장애우와 함께하는 뮤지컬 등의 활동을 했다. 고양시 한 지역의 교육프로그램을 고양시 전역으로 확대하고, 그걸 시의회에서 반영하고 싶다고 한다.
10대 첫 지방의원이 됐는데.
10대, 그리고 여성, 첫 의원이라고 포커스가 되고 프레임이 되는데(생기는데), 그런 타이틀로 어드밴티지(이득)를 받거나 그걸 통해서 어필할 생각이 없다. 정치에 남녀도 없고, 나이도 없고, 의지와 열정이 있으면 누구나 해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 명의 고양 시민으로서, 한 명의 시의원으로서 그간 경험해온 활동을 바탕으로 교육·문화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다.
천 당선인은 다시 한번 "그런 프레임에 갇히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부모님이 반대하지 않았나.
처음에는 무조건 지지해주기보다는 같이 고민해줬다. 얼마나 해낼 수 있을지 그런 얘기를 나눴다. 이후에는 열심히 하겠다고 결심하고 굳은 의지를 보이니까, 옆에서 큰 힘이 됐다.
부모님이 정치와 관련이 있는 일을 하나.
고양시장이 같은 국민의힘 소속인데 제대로 견제할 수 있나.
같은 당이라고 비판하지 않고 감싸기만 하면 시의원으로서 제역할을 못하는 것이다. 편협한 정치보다 정말 필요한 정치를 하는 시의원이 되는 게 목표이다.
기성 정치인을 어떻게 평가하나.
우선 기성세대가 아니라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본다. 시의원을 잘하겠다는 생각만 있을 뿐이다. 굳이 한 프레임에 갇힌 정치인이라기보다 다른 프레임 없이 잘 해내는 게 목표이다.
천 당선인은 기성 정치인 평가 부분에 대해 "상당히 대답하기 어렵다"고 말을 아꼈다.
앞으로 30,40대에 어떤 정치인이 돼 있으면 좋겠나.
앞으로 삶의 선택지가 다양하다. 이른 나이에 정치에 입문했다고 해서 30,40대에도 무조건 끝까지 정치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정치에서 배운 걸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고 본다. 사업을 하든, 더 많이 공부해서 지식을 전달하든 정치 경험이 자양분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미국의 골프 선수 미셀 위도 골프 선수지만 공부를 병행한다. 정치를 시작했다고 무조건 정치에만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학교에 복학하겠다는 건가.
시의원 됐으니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는 게 중요하다. 복학에 대해 크게 고려하지 않는다. 지금은 고양시를 위해 일해야 하는 사람이다.
교육·복지·문화에 관심이 많다는데.
고교 때 장애우와 함께하는 뮤지컬을 1년 했다. 일반적인 장애 인식 개선프로그램과 차별화되게 장애우 친구들과 호흡을 맞추고 배운 게 있다. 자연스럽게 한 사회구성원으로 받아들이는 좋은 시간이었다. 소중한 경험이었다. 많은 학생에게, 사람들에게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 받아들이는 프로그램이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시의회에서 장애우와 함께하는 프로그램을 많이 만들고 싶다.
이번 선거운동 때 어떤 활동을 주로 했나.
시의원·도의원 후보를 도와주는 활동을 하는 게 좋다고 생각해 그리했다. 개인 홍보보다. 비례대표 후보는 당을 홍보하는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