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지난해 12월 ‘2022년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물가 상승률 전망치로 2.2%를 제시했다. 하지만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5.4%를 기록할 정도로 물가가 치솟으면서 기존 전망치인 2.2%는 현실과 동떨어진 수치가 됐다. 전년 동월 대비 물가상승률은 올해 1월 3.6%, 2월 3.7%에서 3월 4.1%, 4월 4.8% 등으로 상승 폭을 매달 키우고 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5일 오후 서울 도봉구 하나로마트 창동점을 방문, 주요 품목 물가를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6/05/ed5726c0-d007-4a18-8499-5c86cbabc924.jpg)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5일 오후 서울 도봉구 하나로마트 창동점을 방문, 주요 품목 물가를 점검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는 올해 상반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국제유가ㆍ곡물 가격 급등 등 정부가 예상치 못한 대외 변수가 생기면서 물가가 예상을 훌쩍 뛰어넘는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는 것이다.
5월 누계 물가상승률은 4.3%
이런 상황을 고려해 정부도 새 경제전망에서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높일 계획이다. 정부는 4%대 초중반 수치를 제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올해처럼 유가 급등으로 고물가가 덮쳤던 2008년 하반기 경제전망에서 그해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4.5%로 수정했다. 직전 전망 3.0%보다 1.5%포인트 올린 것인데, 올해는 그보다 더 큰 폭의 수정을 단행할 것으로 에상된다.

이와 함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지난해 말 제시한 3.1%에서 소폭 낮춰 2%대 후반으로 조정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정부는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무역수지 악화와 설비ㆍ건설투자 하락으로 성장률이 기존 예상보다 떨어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미 한은은 3.0%에서 2.7%로, KDI는 3.0%에서 2.8%로 각각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내린 바 있다.
추경호 "필요하면 추가 대응책 내놓을 것"
구체적으로는 밀가루 가격안정 지원 및 사료ㆍ비료 매입비 지원 사업을 집행하고, 돼지고기 등 가격 불안 품목을 중심으로 농축수산물 할인쿠폰을 제공한다. 농축수산물 할인쿠폰은 농축산물 구매 시 20~30%(최대 1만원)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이번 달에는 쌀ㆍ수박ㆍ돼지고기ㆍ계란 등 24개 품목에 할인쿠폰을 적용한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이는 소비자가 체감하는 생활ㆍ밥상물가는 더 가파르게 뛰어서다. 소비자가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더 가까운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지난달 6.7%로, 2008년 7월(7.1%)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추 부총리는 추가 물가대책 가능성에 대해 "5%대의 물가는 당분간 계속 보게 될 것"이라면서 "정부가 할 수 있는 조치는 1차(민생안정대책)로 취했고 필요한 조치가 있으면 추가로 대응책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