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친환경은 다 '초록잎'?…7개 로고 5년만에 확 바꾼다

현행 환경표지와 환경성적표지. 환경부

현행 환경표지와 환경성적표지. 환경부

환경부가 친환경 제품에 부여하는 인증 로고를 다양화하기로 했다. 전혀 다른 기준으로 인증을 받은 제품에 비슷한 로고가 쓰이면서 소비자들이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면서다. 

혼동을 일으킬 수 있는 대표적인 로고가 환경표지와 환경성적표지다. 환경표지는 에너지와 자원 소비를 줄이고 오염물질 발생을 최소화한 제품에 부여하는 로고다. 반면 환경성적표지는 원료채취부터 폐기까지 전 주기에서 발생하는 환경 영향을 측정한 제품에 부여한다. 소비자는 기업이 환경 영향을 측정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고, 기업은 어느 공정에서 온실가스나 자원소비를 감축해야 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두 표지 모두 친환경 제품 생산을 유도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인증 기준은 명확히 다르다.

종류별 환경성적표지. 초록색 나뭇잎 테두리 안에 있는 글자와 모양만 다르다. 환경부

종류별 환경성적표지. 초록색 나뭇잎 테두리 안에 있는 글자와 모양만 다르다. 환경부

하지만 현행 환경표지와 환경성적표지를 소비자가 명확히 구분하기는 쉽지 않다.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실에 따르면 환경표지·환경성적표지·환경기술성능확인·순환자원품질표시 등의 로고의 모양은 모두 흡사하다. 지난 2017년 1월 환경부가 초록색 나뭇잎 안에 글자를 써넣는 모양으로 모든 환경 인증 로고를 통합하면서다. 2017년 이전엔 색과 모양이 모두 달랐지만, 지금은 사실상 같은 모양에 글자만 다른 형태다. 

이 때문에 통합 로고가 오히려 소비자의 혼란만 키운다는 비판이 나온다. 환경성적표지가 인증하는 7개 분야는 자원발자국·탄소발자국·오존층영향·산성비·부영양화·광화학스모그·물발자국 등이다. 한 분야에서만 인증을 받아 제품에 로고를 표시해도 소비자는 모든 분야에서 친환경을 인증받았다고 착각할 수 있다는 게 의원실 설명이다. 예를 들어 탄소발자국을 제외하고 자원발자국 부문만 인증받은 시멘트 제품이 '대기 친환경'으로 오인될 수 있다는 것이다. 

노웅래 의원은 "환경표지와 환경성적표지를 명확히 구분해 소비자들에 올바른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며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인증제도 로고를 조속히 교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환경부는 새 인증 도안을 찾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앞으론 인증마다 확연히 구분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