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민호 '이해찬 동네'도 휩쓸었다...'부동산세 폭탄' 세종의 변심

최민호, 읍면지역서 2배 가까이 득표
최민호 국민의힘 세종시장 당선인이 이해찬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집이 있는 지역에서 최고 득표율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그간 민주당 절대 우세 지역으로 분류되던 세종시 내 신도시 지역에서도 최 당선인과 이춘희 민주당 후보 간 득표율이 엇비슷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1일 치른 세종시장 선거 결과다.  

최민호 세종시장 당선인이 지난 2일 새벽 세종시 대평동 선거사무실에서 지지자들과 환호하고 있다.뉴스1

최민호 세종시장 당선인이 지난 2일 새벽 세종시 대평동 선거사무실에서 지지자들과 환호하고 있다.뉴스1

 
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에 따르면 최민호 당선인은 이번 선거에서 7만8415표(52.84%)를 얻었다. 6만9995표(47.16%)를 득표한 이춘희 후보보다 8420표(5.68%포인트)가 더 많다. 이 가운데 세종시 10개 읍·면 지역 전체 득표율은 최 당선인이 66.16%로, 이 후보(33.84%)의 약 2배에 달했다. 읍·면 지역은 상대적으로 보수성향 후보를 지지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최민호, 이해찬 동네인 전동면서 76.17% 득표  
세종시 22개 읍·면·동 가운데 두 후보 간의 득표율 격차가 가장 큰 지역은 이해찬 전 대표 집이 있는 전동면이었다. 이곳에서 최 당선인이 76.17%를 득표했지만 이 후보는 23.83%밖에 얻지 못했다. 최 당선인 자택이 있는 연동면에서도 차이가 컸다. 이곳에서는 최 후보가 72.38%, 이 후보는 27.62%를 각각 득표했다.

그동안 민주당 절대 우세 지역으로 분류되던 신도시 지역에서도 두 후보의 득표율은 비슷했다. 신도시 지역에서는 이춘희 후보가 득표율 50.98%(4만7082표)를 기록, 최 당선인 49.02%(4만5272표)보다 1.96%포인트(1810표) 더 얻는 데 그쳤다. 그러나 12개 행정동 가운데 6곳(도담·고운·보람·새롬·대평·다정동)에서는 최 당선인의 득표율이 더 높았다. 보람동에는 세종시청이 있다. 세종 신도시 지역은 유효투표 수가 시 전체의 74.12%를 차지한다.

이춘희 더불어민주당 예비 후보(왼쪽)와 최민호 국민의힘 예비 후보가 세종시장 후보자 초청 토론회에서 악수하고 있다. 뉴스1

이춘희 더불어민주당 예비 후보(왼쪽)와 최민호 국민의힘 예비 후보가 세종시장 후보자 초청 토론회에서 악수하고 있다. 뉴스1

 
이런 결과는 지금까지 세종시 선거 결과와 상반된다. 세종시는 3·9대선에서 충청권 4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앞선 곳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세종에서 이 후보에게 7.8%포인트 차이로 뒤졌다. 2018년 6·13지방선거 때는 이춘희 당시 후보가 71.3%를 얻었고, 자유한국당 송아영 후보는 18% 득표에 그쳤다. 최 당선인은 2012년 세종시장 선거에서 이춘희 후보 등에 밀려 3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이춘희 후보의 당시 득표율은 비(非)호남권 시·도지사 당선인 14명 중 최고였다.  


"민주당에 대한 실망감이 표로 연결" 
이에 대해 국민의 힘 세종시당 관계자는 “세종시는 문재인 정부의 무리한 부동산 정책에 따른 세금 폭탄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은 지역 가운데 하나”라며 “여기에 민주당이 정권 교체 이후에도 검수완박(검찰수사권 완전 박탈) 강행 등 실망스러운 모습을 계속 보인 것이 표심에 큰 영향을 준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세종시에서 민주당 세력의 장기 집권에 따른 피로감, 윤석열 대통령 취임 이후 첫 국무회의 개최 등도 선거 결과로 이어진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며 “세종시장과 국회의원·세종시의원 등을 민주당이 차지해 오던 것을 상각하면 상전벽해나 다름없다”고 덧붙였다.

세종시장 선거 읍면동 득표율

세종시장 선거 읍면동 득표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