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한잔 줄까?"…그 청소년 '위험 음주자' 될 위험 커진다

지난 3월 7일 서울시내 대형마트 주류코너에 부산을 지역기반으로 한 소주업체 대선주조의 제품이 놓여있다. 뉴스1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지난 3월 7일 서울시내 대형마트 주류코너에 부산을 지역기반으로 한 소주업체 대선주조의 제품이 놓여있다. 뉴스1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우리나라 청소년 10명 중 1명은 최근 30일 동안 1잔 이상 술을 마신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음주 청소년의 절반 정도는 1회 평균 소주 3~5잔 이상을 마시는 '위험 음주자'였다. 지난 10년간 청소년 음주율 자체는 꾸준히 낮아졌지만 이런 '위험 음주' 비중에는 큰 변화가 없어 주류 판매 대책 강화와 학교 내 음주예방교육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위험 음주자, 한 달 평균 5~6일 소주 1병 이상씩 마셔

질병관리청은 지난달 31일 이러한 청소년 음주 현황을 주제로 한 ‘국민건강조사 요약 통계집’을 발간했다. 통계집에 따르면 음주 청소년 비율은 지난 10년간 감소해왔다. 2010년에는 남학생 23.5%, 여학생 18.3%가 음주 청소년이었는데 지난해에는 그 절반 수준인 12.4%, 8.9%까지 떨어졌다. 연령대별로는 고등학생의 음주율이 16%, 중학생은 5.6%였다.

청소년 흡연·음주 행태.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청소년 흡연·음주 행태.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음주 청소년 비율이 지속해서 낮아진 것과 달리 위험 음주자 비율은 10년간 큰 변화가 없었다. 위험 음주자는 1회 평균 음주량이 남자 청소년은 소주 5잔 이상, 여자 청소년은 소주 3잔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술 마시는 청소년 중 위험 음주자 비율이 여학생은 49.8%, 남학생은 42.5%인 것으로 집계됐다. 

위험 음주 청소년의 한 달 평균 음주 일수는 남학생 6.3일, 여학생 5일이었다. 또 이들은 한번 술을 마실 때 소주 한병 이상을 마시는 것으로 조사됐다. 위험 음주 남학생의 1회 평균 음주량은 10.4잔(소주 1병 반), 여학생은 7.4잔(소주 한 병)이다.  

위험 음주 청소년, 가정 내 음주 권유받아 본 경험 2배 이상

조사 결과 위험 음주 청소년은 가정 내에서 음주에 노출되는 경우가 잦았다. 이들은 가정 내에서 음주를 권유(허용)받아 본 경험이 60% 이상(남학생 61.2%, 여학생 66%)으로 20%대인 비음주 학생 집단보다 두배 이상 높았다.  


또 위험 음주 청소년 집단의 경우 술도 쉽게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모두 구매 시도 성공률이 85% 이상이었다. 비음주 학생 남학생의 성공률이 47.1%, 여학생이 55.5%인 것에 비해 크게 높다. 

질병관리청은 “청소년 음주율은 계속 줄고 있으나 위험 음주 학생의 비중은 높게 유지되고 있다”며 “청소년 음주 예방을 위해서는 주류 판매 환경이 개선돼야 하며, 음주 예방 교육도 더욱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