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중구 명동에서 시민들이 마스크를 쓰고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의 주민등록 인구(내국인)가 950만명 선마저 무너졌다. 1000만명 밑으로 떨어진 지 6년 만이다.
6일 행정안전부 주민등록통계에 따르면 5월말 기준 서울의 주민등록 인구는 949만6887명으로 집계됐다.
1000만명이 처음 깨진 것은 2016년 5월말로 당시 999만5000여명을 기록했다. 이후 50만명이 더 줄어드는 데 6년밖에 걸리지 않은 것이다.
서울의 주민등록 인구는 2010년 말까지만 해도 1031만명에 달했지만, 그 뒤 한해도 빠지지 않고 내리막을 달려 지금까지 80만명 넘게 감소했다.
2020년 말 서울 인구는 내국인(966만8465명)에 등록 외국인(24만2623명)을 합해서도 991만1088명으로 집계돼 1988년말(1029만명) 이후 32년 만에 처음으로 1000만명 아래로 내려갔다.
서울 인구는 도시화·산업화에 따른 유입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하다 1992년 내·외국인을 합쳐 1097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감소해왔다.
서울을 둘러싼 경기도의 신도시 개발로 서울 인구가 계속 유출되는 데다 저출산까지 더해져 인구 감소 추세는 계속되고 있다.
서울시와 달리 경기도 인구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경기도 주민등록 인구는 5월말 현재 1358만1496명으로 서울시보다 408만5000명가량 많다.
경기도 인구는 2012년 1200만명을 돌파했으며, 2018년 1300만명을 넘어섰다.
서울연구원은 서울 인구 유출의 주요 원인으로 최근 경기도와 인천시의 대규모 신규 주택 공급을 꼽았다. 특히 서울에서 경기 하남, 화성, 김포, 시흥, 남양주 등 대규모 도시개발지역을 이주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서울에서 경기로 이주한 사람들은 자가와 아파트 거주 비율이 대폭 상승했으며 주택 면적도 늘었다.
서울의 인구 감소 문제는 앞으로 더 심각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은 지난달 저출산 상황이 크게 나아지지 않는 '최악 시나리오'에서 한국 총인구는 2020년 5184만명에서 2050년 4736만명으로 8.6% 줄고, 서울은 2020년 962만명이던 인구가 2050년에는 720만명으로 25.1%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