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에 집단운송거부가 예고돼 큰 혼란은 없었지만, 시멘트와 주류 등 일부 업종에서는 제품 출하에 차질을 빚었다. 또 현 정부 들어 첫 대규모 파업인 만큼 정부의 대응 강도에 따라 향후 노동 정책을 가늠할 잣대가 될 거란 전망도 나온다.
![화물연대가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 7일 부산시 강서구 부산신항 앞 삼거리에서 열린 '화물연대 총파업 출정식'에서 화물차량 노동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스 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6/07/039f00f5-f0b6-4a83-a311-90b5720abcae.jpg)
화물연대가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 7일 부산시 강서구 부산신항 앞 삼거리에서 열린 '화물연대 총파업 출정식'에서 화물차량 노동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스 1]
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날 17시 현재 전국적으로 출정식을 갖고 집단 운송거부에 들어간 화물연대 조합원은 모두 9000여명(경찰 추정)으로 화물연대 조합원 2만 2000여명의 40% 수준이다.
화물연대의 주요 요구사항은 ▶안전운임 일몰제 폐지 ▶안전운임 전 차종·전 품목 확대 ▶경윳값 급등 대책 마련 ▶지입제 폐지 등이다. 주요 현안인 안전운임제는 화물차의 과적과 과속을 막기 위해 2020년 도입돼 일몰제에 따라 올해 말에 폐지될 예정이다. 안전운임을 어기는 화주에게는 과태료 500만원이 부과된다.
![화물연대가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 7일 오전 '화물연대 총파업 출정식'이 열린 인천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인천신항 인근도로 일대에 화물연대 인천지역본부 소속 화물차량들이 줄지어 정차돼 있다.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6/07/386fa8fe-47ef-481f-a4c9-1b0eb8211f39.jpg)
화물연대가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 7일 오전 '화물연대 총파업 출정식'이 열린 인천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인천신항 인근도로 일대에 화물연대 인천지역본부 소속 화물차량들이 줄지어 정차돼 있다. [뉴스1]
화물연대에서는 안전운임을 최저임금과 유사한 성격이라고 규정하며 일몰제 자체를 아예 없애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경영계에서는 안전운임으로 인해 물류비용 부담이 훨씬 커졌다며 안전운임이 예정대로 연말에 폐지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부산항과 인천항 등 주요 물류 거점에 군 위탁 차량 등 관용 컨테이너 수송차량을 투입하고. 운송방해행위와 물리적 충돌 등 불법행위 차단을 위해 경찰력도 배치했다. 국토부는 "전국의 12개 항만 모두 정상 운영 중으로 항만별 컨테이너 장치율(68.8%)은 평시(65.8%)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컨테이너 장치율은 항만의 컨테이너 보관 능력대비 실제 보관된 컨테이너의 비율이다.
하지만 이날 파업으로 물류 현장에서는 운송에 차질이 빚어지는 등 피해가 발생했다. 수도권으로 시멘트를 공급하는 경기 의왕(부곡) 유통기지에서는 화물연대 차량이 진입로를 막아 시멘트 운송이 전면 중단됐다.
충북 단양과 제천, 강원 영월 등 주요 내륙사 시멘트 공장에서도 화물연대의 점거로 시멘트 출하가 전면 중지된 상태다. 시멘트 업계의 한 관계자는 “아직 다른 유통기지 봉쇄 소식은 들리지 않지만, 파업 영향으로 시멘트 출하 감소는 불가피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7일 인천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인천신항 앞으로 화물연대 총파업을 알리는 현수막이 걸린 화물차량이 지나가고 있다.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6/07/1ac2293a-f289-4730-a5d6-8520391ae0d7.jpg)
7일 인천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인천신항 앞으로 화물연대 총파업을 알리는 현수막이 걸린 화물차량이 지나가고 있다. [뉴스1]
유통업계는 전체적으로는 물류센터와 대형마트 지점 등을 연결하는 차량의 화물차주들 파업 참여 비중이 크지 않아 큰 영향은 받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파업이 장기화하지 않을까 우려하며 파업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날 울산 석유화학단지에서는 화물연대 조합원 200여명이 정상 운행차량의 운송을 방해하기 위해 도로점거를 시도하던 중 경찰을 밀쳐 조합원 4명이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경찰에 붙잡히기도 했다.
정부는 대화의 문은 열어두면서도 불법 행위에는 법에 따라 엄정대응한다는 입장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사용자의 부당 노동행위든 노동자의 불법행위 든 법에 따라 원칙에 따라 대응하겠다고 천명해왔다”며 ‘원칙대로’를 강조했다.
한덕수 총리도 “법이 허용하는 권리 행사는 확실히 보호하지만, 법을 위반하고 무시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법에 따라 엄단한다는 원칙”이라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