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민의힘 지도부와의 오찬 회동에서 우크라이나 방문을 마치고 돌아온 이준석 대표 등 참석자들과 인사를 나눈 후 자리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文은 민변, MB는 고·소·영, 朴은 영남
박근혜 전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모든 공직에 대탕평 인사를 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그 결과는 영남 편중 인사였다. 박근혜 정부 출범 첫 해인 2103년 4대 권력기관인 검찰·경찰·국세청·감사원의 고위직 152명 중 총 62명(40.8%)이 영남 출신이라는 분석도 나왔었다. 야당이었던 새정치민주연합(현 더불어민주당)은 당시 ‘박근혜정부 특정지역편중 인사실태조사 TF(태스크포스)’까지 만들었다. TF가 2015년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의전서열 상위 11명 가운데 8명이 영남권 출신이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2019년 4월 1일 청와대에서 열린 시민사회단체 초청 간담회에서 김호철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회장의 발언을 듣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정무직 인사에서 대통령 권한 강하게 작용"
국정과제 이행을 위해선 대통령이 자신과 가깝거나 성향이 맞는 인사를 뽑는 건 불가피하다는 시각도 정치권엔 있다. 국민의힘의 재선 의원은 “공약을 실행하려면 대통령이 잘 알고, 손발 잘 맞는 인사를 뽑는 건 당연한 것 아닌가”라며 “정부 초기에는 특히 국정과제 이행 동력이 중요해 대통령이 잘 아는 인사를 장·차관에 임명한다. 모든 정부가 그랬다”고 말했다. 노무현 정부 때인 2006년 이백만 청와대 홍보수석은 ‘코드 인사’ 비판이 커지자 “코드 인사라 하는데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에쿠스 정비하는데 거기에 소나타 부품 넣으면 되겠냐”고 반박하기도 했다.
"검사들의 집단화된 의식 지나치게 강조될 수도"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김영미 상명대 행정학과 교수는 10일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정부 고위직에 다양한 분야에서 일했던 사람들이 골고루 들어올 때 여러 의견이 반영될 여지가 있다. 그런데 윤석열 정부에서 검찰 출신이 대거 기용되면서 정부 내 다양한 목소리가 줄어드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 검사들이 일해왔던 방식이나 집단화된 의식이 지나치게 강조됐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