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 노동당 기북한은 지난 8일 최고인민회의를 통해 핵무력 정책과 관련한 법령을 채택했다. 이 법령엔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강조하고, 핵개발 의지를 다지는 내용이 담겼다. 뉴스1
북한은 11개 조항으로 구성된 이번 핵무력 법령을 통해 핵보유국 지위를 ‘불가역적’이라 규정했다. 또 한·일 등 동맹국과의 공조 하에 설계된 미국의 대북 정책을 ‘반공화국 책동’이라 비판하며 “우리의 핵무력 강화 노정은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핵·미사일 고도화 의지를 노골적으로 드러내며 7차 핵실험을 비롯한 추가적인 무력 도발을 예고한 셈이다.
제재·압박에도 '핵 야욕' 공식화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비핵화 협상 개시와 동시에 북한에 각종 유인책을 제공하는 담대한 구상을 발표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담대한 구상은 북한이 비핵화 협상에 복귀함과 동시에 인프라·산업·경제 등 각 분야의 지원책을 제공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실질적인 비핵화 조치 없이 비핵화를 위한 협상에 임하는 것만으로도 각종 인센티브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선(先) 비핵화’ 노선보다 북한 측에 한층 유리한 조건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북한은 '핵무력 법령'을 통해 핵미사일 고도화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또 핵 무력을 '자위권'으로 규정하며 경제적 유인책을 대가로 한 비핵화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연합뉴스
"세상이 변해야"…협상 개시 조건 던진 北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한미 연합훈련의 범위와 규모를 확대키로 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정부 관계자는 “스스로 핵보유국임을 강조하고 핵 개발 의지를 다지는 이번 법령은 대외적인 위협 메시지보다는 ‘우리는 핵이라는 강력한 무기가 있으니 걱정 말라’는 점을 알리는 대내적 메시지 성격이 강해 보인다”며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북한이 계속된 무력 도발을 통해 행동으로 보여준 입장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는 것 외에 새로운 내용이 없는 만큼 한·미 역시 그간의 대북 공조를 일관성 있게 이어가는 것으로 대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