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날 통째 사라진 조부 묘…독립영웅 후손 울린 '기구한 사연'

최일리야는 지난 10일 서울현충원을 찾아 최재형 선생의 묘를 복원해달라는 서명운동을 했다. 사진 최재형기념사업회

최일리야는 지난 10일 서울현충원을 찾아 최재형 선생의 묘를 복원해달라는 서명운동을 했다. 사진 최재형기념사업회

“할아버지의 묘 108번을 다시 돌려주세요.”

추석날인 지난 10일 국립서울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노란색 어깨띠를 두른 러시아 청년이 손에 든 피켓에 적힌 문구를 외치고 있었다. 이국 청년의 서툰 한국어에 추모객들이 하나둘 모여들자 그는 A4용지 4장 분량의 문서를 하나씩 건넸다. 문서엔 그가 현충원에서 서명운동하게 된 이유가 적혔다. 설명을 들은 추모객들이 고개를 끄덕이며 종이에 서명하자 그는 “감사합니다”라며 웃어 보였다. 이날 최재형기념사업회(이사장 문영숙)와 함께 서명운동을 벌인 그는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1860~1920)의 5대손인 대학생 최일리야(20)다.

최일리야의 특별한 서명운동엔 102년 전 세상을 뜬 현조부(玄祖父)의 기구한 사연이 숨어있다. 연해주 독립운동의 대부로 불리는 최재형 선생은 1920년 4월 일제에 피격돼 세상을 떠났다. 광복 후 정부가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고 1970년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안장됐다. 서거 당시 일본군이 유해를 감추는 바람에 가묘(假墓)로 건립됐다고 한다. 당시 원호처(국가보훈처)는 최 선생의 손자를 자처한 최모씨의 요청에 따라 서울국립묘지관리소(국립서울현충원)에 최 선생의 묘소를 세웠다고 한다.

그러다 1990년 한국과 소련(러시아)이 수교를 맺으면서 감춰진 진실이 밝혀졌다. 최 선생의 유족이 처음 고국 땅을 밟으면서 진행된 유전자(DNA) 검사에서 그동안 최 선생의 유족연금을 받았던 최모씨가 가짜 후손이란 게 탄로 난 것이다. 최 선생의 막내딸 최 엘리자베타가 유족연금 수급자로 국가보훈처에 등록하고 이후 손자 최 발렌틴이 이어받으면서 논란은 일단락되는 듯했다. 

유족 통보 없이 사라진 묘소 

최재형 선생의 손자 최 발렌틴이 2009년 재차 서울현충원 묘역을 참배하러 갔으나 가묘가 사라져 망연자실한 모습. 지금도 이 자리는 빈터로 남아 있다. 사진 최재형기념사업회

최재형 선생의 손자 최 발렌틴이 2009년 재차 서울현충원 묘역을 참배하러 갔으나 가묘가 사라져 망연자실한 모습. 지금도 이 자리는 빈터로 남아 있다. 사진 최재형기념사업회

그사이 기상천외한 일이 또 일어났다. 어느 순간 최 선생의 가묘가 멸실되고 빈터만 남은 것이다. 2010년 러시아에서 출간된 최발렌틴의 저서『최재형』에 적힌 이 같은 사실은 한국엔 뒤늦게 전해졌다고 한다. 상황을 인지한 최재형기념사업회가 조치에 나섰지만, 국립서울현충원 유공자 부부위패비에 최 선생 부부의 이름을 새기는 데 그쳤다. 최 선생의 묘가 멸실된 경위에 대해 국방부 등 관계 당국은 명확한 설명을 내놓지 않았다고 한다.


‘가묘 멸실 사건’은 지난해 최재형기념사업회가 최 선생의 가묘를 부부합장묘로 복원하는 작업을 추진하면서 다시 수면위로 떠올랐다. 과거 최 선생의 묘지가 있던 국립서울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108호가 빈터로 남아있으니 그 자리에 최 선생과 부인 최 엘레나의 부부합장묘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최재형기념사업회는 최 선생의 묘가 석연찮은 이유로 멸실된 만큼 복원할 이유가 충분하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키르기스스탄에 있는 최 엘레나의 유골을 국내로 봉환하기 위한 절차를 마친 상태다. 최 선생의 유해가 아직 발견되지 않은 터라 부부합장묘엔 러시아 우수리스크에 있는 최 선생의 옛집 마당의 흙과 유품을 묻을 계획이다. 

지난 5월 최재형기념사업회가 유족의 뜻을 담아 윤석열 대통령에게 공문을 보냈다.사진 문영숙 이사장

지난 5월 최재형기념사업회가 유족의 뜻을 담아 윤석열 대통령에게 공문을 보냈다.사진 문영숙 이사장

지난 5월 최재형기념사업회는 대통령실로 공문을 보냈다. 공문엔 멸실된 최재형 선생의 묘를 복원하고 최재형 선생의 서훈을 높여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60년 전 심사 대상에서 빠졌던 동의회·권업회·독립단 활동 등을 반영하면 서훈을 높일 근거가 충분하다는 주장이다. 과거 문재인 정부가 홍범도 장군과 유관순 열사에게 추가서훈을 한 선례도 고려했다고 한다. 공문이 전달되고 한 달 뒤 진행된 면담에서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은 “긍정적으로 방법을 찾아보자” 는 취지로 답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후 추가 조치가 없었고 이 사안을 널리 알리기 위해 현충원 서명운동을 진행했다는 게 최재형 기념사업회의 설명이다. 최재형기념사업회는 국방부에 최 선생의 허묘가 멸실된 경위를 파악해달라는 내용의 정보공개청구를 한 상태다. 문영숙 최재형기념사업회 이사장은 “후손이 가짜였다고 해도 최재형 선생의 가묘를 없앤 게 말이 되느냐”며“국가보훈처와 국방부는 과거의 시행착오를 바로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