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고위직 공무원의 보수(급여) 동결과 반납을 결정한 가운데 대전시가 산하 공기업(공공기관) 임원의 연봉 인상을 추진하고 나섰다. 신진호 기자
12일 중앙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대전시는 산하 공공기관(공기업) 사장과 임원의 내년도 보수 인상을 추진 중이다. 대상은 대전관광공사와 대전시시설관리공단, 대전교통공사, 대전도시공사 등으로 현재 최저임금의 5.5배(사장), 5배(임원) 수준으로 제한한 임금을 최대 7배까지 올리겠다는 게 대전시의 방침이다. 내년도 5급 이하 하위직 공무원 보수가 1.7% 인상에 그치는 상황에서 ‘억대 연봉’을 받는 공기업 임원들의 임금 인상이 정부 방침과 역행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저임금 기준 5.5배에서 7배까지 인상

지난해 10월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가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시 공직자 부동산 투기 감시 시민조사팀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뉴스1
공사·공단 임원은 사장을 포함해 2~3명이다. 대전관광공사가 사장과 상임이사 등 2명이고 나머지 3곳은 사장과 임원 2명씩 근무하고 있다. 임원을 포함한 평균 임금은 대전도시공사가 1억1194만원으로 가장 많고 나머지 기관들도 모두 1억원이 넘는다. 임원 보수인상을 추진하는 4개 기관 가운데 대전시설관리공단을 제외한 나머지 3곳은 수장이 공석이다. 지난 7월 1일 이장우 대전시장이 취임한 뒤 3명이 줄줄이 사퇴했다. 지방권력이 바뀌자 임기를 1년 인상 남기고 그만둔 경우도 있다.
대전관광공사 부채비율 1년 새 6.7%P 급증

지난 7월 1일 제13대 이장우 대전시장이 취임식에서 시정 운영 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전시 관계자는 “다른 시·도보다 임원 연봉이 낮아 인재를 영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 인상을 추진하게 됐다”며 “일부에서 제기하는 ‘신임 시장의 지시’와는 무관하며 2년 전 시의회의 결정이 부당하다는 내부 결론에 따라 다시 논의가 이뤄진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시 "신임 시장과는 무관, 인재영입 한계"

지난해 9월 8일 대전시의회 본회의장에서 제253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가 열리고 있다. 뉴스1
당시 대전시의회는 “소득 양극화에 따른 경제적 불평등을 완화하자는 취지”라며 조례안 발의 배경을 밝혔다. 성과를 거두거나 경영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임원에게 성과급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임금 구조를 개선하자는 취지도 담겼다. 적자가 쌓이고 부채가 누적되는 공공기관 임원의 보수를 올려주면 시민의 공감을 얻지 못할 것이라는 이유도 들었다.
대전시의회, 2020년에도 임금인상 제동

지난달 25일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예산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문가 "공기업 연봉인상 사회적 동의 어려워"
한편 올해 최저임금은 시간당 9160원으로 월 급여(290시간)로 환산하면 191만4440원이다. 2023년도 최저임금은 시간당 9620원으로 월 급여로 환산하면 201만580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