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광복절 경축식에 참석한 모습. 뉴시스
교수협의회는 지난 10일 입장을 통해 “숙명여대 대학본부는 김 여사 표절 의혹을 본교 연구윤리과정에 따라 공정하게 조사하겠다고 해 입장을 존중하며 진행과정을 주시해왔다”면서 “(학교 측은) 뚜렷한 사유 없이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가 본조사 실시를 미뤄 오고 있어 우려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앞서 숙명여대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는 지난 2월 관련 의혹에 대한 예비조사를 한 결과 ‘본조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다만 아직 본조사 실시가 이뤄지지 않아, 예비조사 결과 승인 후 30일 이내에 본조사에 착수하고 본조사는 시작일로부터 90일 이내에 완료해야 한다는 학교 규정을 어겼다는 게 교수협의회 측의 주장이다.
또 교수협의회는 ‘당시 현재와 같은 연구윤리 기준이 명시되지 않아 표절 검증이 어렵다’는 일부 의견에 대해선 “시대를 불문하고 표절이 인간 양심과 윤리의 위배라는 통상적인 개념이 존재하는 한 시기를 이유로 표절 검증 절차를 진행하지 않는 건 타당하지 않다”고 반박했다.
아울러 ‘김 여사 논문 표절 의혹이 사회적 이슈가 됐기 때문에 논문검증 결과가 무엇이 되든 논란의 대상이 될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서도 “논문검증 결과에 대한 외부의 해석이 검증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요소가 될 수 없다”며 “학문적 독립성과 자율성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삼아야 하는 대학이 외부의 시선에 흔들린다면 존재의 목적을 상실하게 될 것”이라고 반박을 이어갔다.
끝으로 교수협의회는 숙명여대의 명예 회복을 위한 조속한 본조사 착수를 재차 요구했다. 교수협의회는 “윤리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신뢰가 떨어진다면 가장 큰 피해자는 우리가 길러내는 학생들”이라며 “학교본부가 규정에 충실해 본조사에 조속히 착수하고 공정한 조사를 거쳐 김 여사의 표절 논문 의혹에 대한 판정을 완료할 것을 요청한다”고 촉구했다.
현재 숙명여대 재학생들도 성명 운동에 나서며 김 여사의 논문 검증 본조사 착수를 요구하고 있다. 숙명여대 재학생으로 구성된 ‘김건희 여사 논문 심사 촉구 재학생 TF’는 지난 1일부터 온·오프라인을 통해 김 여사 석사 학위 논문 본조사에 대한 의견을 받는 서명운동을 진행했다. 숙명여대 졸업생 모임인 민주동문회도 김 여사 논문에 대해 자체 표절 조사를 진행한 결과 50% 안팎의 표절률이 나왔다며 학교 측에 표절 검증 여부에 대한 조속한 조사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