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룹 방탄소년단(BTS). 사진 빅히트뮤직
지난 20일 MBC ‘100분 토론’에는 임 평론가와 박지원 전 국정원장이 출연해 ‘BTS 병역 논란과 요즘 정치’를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다.
먼저 박 전 원장은 “대중문화예술인에 대해 척박하게 대우하는 경우가 많다. 병역 특례법에 운동선수는 모두 해당한다. 하지만 대중문화예술인에게는 그것이 적용되지 않는다”며 “싸이나 BTS만큼 국위선양을 한 경우가 없다. 그래서 반드시 (BTS에 대한) 병역특례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임 평론가는 “BTS가 거둔 실적이 어마어마한 걸 인정한다. 분명히 포상을 해줘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병역특례, 즉 면제로 연결되는 건 안 된다”고 반박했다.
그는 “BTS 멤버들이 순차적으로 입대하는 게 옳다고 생각한다”며 “그것이 형평성뿐 아니라 본인들에게도 결국 좋은 효과를 가져다줄 거라 믿고 있다”고 했다.

임진모 음악평론가. 사진 MBC ‘100분 토론’ 캡처
그러면서 “그것만으로도 충분한데 아무리 사회적으로, 해외에서 공헌했다고 해도 또다시 병역 특례 혹은 면제가 부여되는 건 형평성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임 평론가는 대중문화예술 분야의 성공은 큰 상업적 보상으로 돌아온다며 “왜 병역 특례와 면제로 연결해야 하는지 모르겠다. 입대를 앞둔 같은 세대 친구들에게는 불공정을 초래할 수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지금 시대의 키워드는 제가 군에 입대했을 때와 너무 다르다. (지금 시대에) 중요한 것은 공평, 평등, 공정”이라며 “입대가 BTS 활동의 연속성을 저해한다고 할 수도 있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볼 때 7명이 다 입대하는 게 아니라 나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입대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스포츠는 메달 기준이 있고, 순수예술문화는 콩쿠르 대회라는 명백한 조건이 있다”며 “대중문화예술 분야는 어떻게 기준을 마련해야 하는지 궁금하다.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1위 곡 5개인지, 유명 잡지 커버스토리에 나와야 하는 건지, 그래미 수상을 해야 하는 건지 너무 어렵다”고 지적했다.
임 평론가는 “여전히 입대를 앞둔 젊은이들은 BTS가 입대해 주는 것이 더 좋다는 생각을 가질 것이라 본다”며 “BTS는 엄청난 돈을 벌었고 이미 모든 것을 다 이룬 팀이라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