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국전력공사 서초지사 전경.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11/22/869f182a-cbf1-4b99-9d2e-c30c4d116ee0.jpg)
서울 한국전력공사 서초지사 전경. [연합뉴스]
"채권 시장 심리 지표 호전"
금투협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채권시장 안정화 대책 발표에 이어 주요국이 긴축 속도를 조절할 것이란 기대감으로 채권시장 심리가 전반적으로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실제 정부와 대형증권사 9곳이 중소형 증권사의 유동성 위기 해소를 위해 만든 ‘제2 채권시장안정펀드’가 24일부터 자금 집행에 들어가면서 중소형 증권사들의 자금 사정도 다소 풀리는 양상이다. PF ABCP 매입을 신청한 증권사 관계자는 “시작 단계다 보니 당장 효과를 말하긴 어렵지만 안정적으로 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됐다는 점에서 숨통이 트이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CP 금리 5.38%…금융위기 때 보다 높아
앞서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1일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한전이 내년 3월 결산에서 한전법을 위배할 가능성이 있다”며 한전채 발행 한도를 높이는 법 개정 추진 배경을 밝혔다. 현재 한전채 발행은 자본금과 적립금을 더한 금액의 2배까지 허용된다. 법 개정을 하지 않으면 3월 결산 이후 회사채 발행 한도가 줄고, 이후 회사채를 발행할 경우 한전법을 위배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한도를 늘린다는 것 자체가 한전이 추가로 필요할 경우 채권을 발행할 수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며 “‘한전채 구축효과(우량채가 시중의 자금을 흡수하는 현상)’가 심화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성을 안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도 “레고랜드발 유동성 위기 사태와 겹치면서 한전채 논란이 필요 이상으로 증폭된 측면이 크다”며 “한전법 개정안이 이미 알려진 내용이라 하더라도 채권 투자자의 심리가 불안한 상태라 시장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 이날 한전채(AAA·3년물) 금리는 5.563%로 회사채(AA-·3년물) 금리(5.516%)보다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정부 대책의 효과가 크레딧(기업 채권) 시장으로까지 옮아가기 위해선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본다. 공 연구원은 “과거와 같이 정부가 돈을 풀 수 있는 상황이면 효과가 빨리 나타날 수 있지만 지금은 긴축으로 인한 경기 위축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라며“안전자산(국채)이 먼저 안정궤도에 진입한 뒤 상당한 시차를 두고 크레딧 시장이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