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대외선전매체 조선의오늘이 발간한 사진편집물 '3·18이 안아온 위력한 주체무기들'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여러 대량살상무기 사진을 실었다. 사진은 신형전술유도탄.조선의오늘 홈페이지 캡처, 연합뉴스
21일 대외선전매체 조선의오늘이 발간한 사진편집물 ‘3·18이 안아온 위력한 주체무기들’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여러 대량살상무기 사진을 실었다.
2017년 4월 15일 열병식에서 공개된 준중거리탄도미사일(MRBM) ‘북극성-2형’과 2021년 3월 25일 발사된 북한판 이스칸데르(KN-23) 개량형으로 추정되는 ‘신형전술유도탄’ 사진, 2021년 9월 15일 탄도미사일이 화염을 내뿜으며 열차에서 발사되는 모습 등이 담겼다.
또 장거리순항미사일과 극초음속미사일, ICBM ‘화성-14’형, ‘화성-15’형, ‘화성포-17’형 사진도 있었다.

21일 대외선전매체 조선의오늘이 발간한 사진편집물 '3·18이 안아온 위력한 주체무기들'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여러 대량살상무기 사진을 실었다. 사진은 신형전술유도무기. 조선의오늘 홈페이지 캡처, 연합뉴스,
북한이 이런 대외용 편집물을 발간한 것은 지난 19일 전술핵탄두 탑재가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는 KN-23의 공중폭발 실험을 감행하는 등 도발 수위를 높여가는 가운데 자신들의 국방력 수준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21일 대외선전매체 조선의오늘이 발간한 사진편집물 '3·18이 안아온 위력한 주체무기들'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여러 대량살상무기 사진을 실었다. 조선의오늘 홈페이지 캡처, 연합뉴스
당시 시험은 80tf(톤포스: 80t 중량을 밀어 올리는 추력)짜리 엔진 3∼4개를 묶는 ‘클러스터링’(clustering) 기술로 ICBM 1단 엔진 제작에 성공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 클러스터링 엔진은 2개월이 지나지 않은 5월 14일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 화성-12형 시험발사에 쓰인 것으로 추정됐다. 이어 7월 4일 사거리 1만㎞의 화성-14형 시험발사로 ‘7·4 혁명’이라는 표현이 나왔고 그달 28일에 2차로 화성-14형을 쐈다.
2017년 11월 29일에는 사거리 1만3000㎞로 평가돼 북미 전체를 사정권에 두는 ICBM 화성-15형을 시험 발사했고, 김 위원장은 “국가 핵 무력 완성의 역사적 대업 실현”을 선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