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중구 하나은행에서 시민이 대출 상담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28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달 말부터 신용대출을 대상으로 53개 금융사와 23개 대출비교 플랫폼 업체가 참여하는 대환대출 인프라를 가동한다. 은행권 19개사, 저축은행 18개사, 카드 7개사, 캐피털 9개사 등 전체 신용대출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53개 금융사가 참여한다. 토스·카카오페이·네이버파이낸셜(네이버페이) 등 대환대출 플랫폼에 참여하는 핀테크 서비스에서 금융사 대출을 비교해 대출을 갈아탈 수 있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하지만 앞으로는 소비자가 영업점을 방문할 필요 없이 온라인으로 모든 게 가능해진다. 소비자는 대환대출 플랫폼을 통해 자신이 가진 대출의 금리와 한도, 중도상환 수수료 등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금리순, 한도순, 상환기간순 등 원하는 조건에 따라 갈아탈 상품을 비교하고 고를 수 있다. 이후 소비자가 A은행에서 B은행으로 대출을 이동하겠다고 신청하면, B은행이 온라인으로 기존 대출 정보를 확인한 뒤 금융결제원 망을 이용해 A은행에 대출을 대신 상환한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플랫폼 업체간 경쟁도 ‘후끈’ 달아올랐다. 네이버파이낸셜은 이달 초 저축은행중앙회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대출 중개 수수료를 1% 미만으로 낮췄다. 대신 저축은행 업계는 수수료 부담이 줄어드는 만큼 대출 금리를 인하하기로 했다. 대환대출플랫폼 중개수수료는 플랫폼과 제휴 금융사 간 계약에 따라 다른데, 저축은행의 경우 은행보다 높은 1~2%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핀다 역시 기존 대출 비교 서비스에 비해 이번 대환대출 서비스의 대출 중개 수수료를 대폭 인하할 방침이다. 뱅크샐러드는 대환대출 서비스를 통해 대출 상품에 가입하면 모든 상품에 대해 제한 없이 금리를 0.1%포인트 추가 인하하기로 했다.
당국은 우선 6개월 이상의 개인 신용대출을 대상으로 시작한 뒤 올해 안에 주택담보대출로 대환 대상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주담대는 전체 가계 대출의 70% 이상을 차지하는데, 대환 대출을 하려면 부동산 등기이전 등 부가적인 절차가 필요해 시행에 준비작업이 필요하다는 게 금융위원회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