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14일 쇄신 의원총회서 “당 차원의 혁신기구를 설치하겠다”는 내용의 결의안을 채택했다. 하지만 보름째 출범 방향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의 한 의원은 28일 “혁신기구를 출범한다고는 했지만 혁신 대상이 국회의원인지, 지도부인지, 이재명 대표인지, 당 전체인지 아무것도 정해지지 않았다”며 “혁신 주체 역시 누가 돼야할지 의견을 모으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15일 국회 최고위에 참석해 정청래 최고위원과 대화하고 있다. 김현동 기자
반면, 비(非)이재명계 의원들은 대의원제 폐지가 우선 논의될 시기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25일 열린 의총서 김영주 국회부의장이 “지금 우리 당이 위기인데 대의원제를 폐지하는 이야기가 왜 논의되나, 적절하지 않다”고 반발한 게 대표적이다. 이들은 오히려 혁신기구의 권한과 위상에 주목한다. 친문재인계 윤건영 의원은 23일 페이스북에 “당 지도부의 권한을 (혁신기구에) 과감하게 위임해야 한다”며 “혁신의 범위를 제한하면 안 된다. 민주당을 재창당 수준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 지도부의 한 의원은 “친명계는 혁신기구의 역할과 권한을 어떻게든 축소하려 하고, 비명계는 이를 최대한 키우려해 합의가 이뤄지기 어렵다”고 말했다. 결국 이재명 대표가 혁신기구 위원장 인선이라도 빠른 시일 내 마무리해 계파간 갈등 봉합에 나서야 한다는 게 당내 대체적인 시각이다.

지난 12일 오후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의장단 초청 만찬'을 갖기 위해 김진표 국회의장과 청와대 녹지원을 걷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가 지난 27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불기 2567년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에서 삼귀의례를 하며 합장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한 수도권 재선 의원은 “지난 의총서 한 친명계가 ‘이재명 없이도 안 되고 이재명만으로도 안 된다’고 말했는데, 사실은 이 대표가 중심에 있기 때문에 우리 당이 뭘 해도 안 먹히는 게 상식 아닌가”라며 “지도부 생각이 이런 수준이라면 제대로 된 혁신도, 내년 총선 승리도 멀어진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