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방영된 JTBC 프로그램 '톡파원 25시'에서 MC 전현무가 빵 사이에 정어리를 끼워 먹고 있다. [사진 JTBC 방송 캡처]](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5/30/5468aae9-5344-4794-94fe-252995ef266b.jpg)
지난해 11월 방영된 JTBC 프로그램 '톡파원 25시'에서 MC 전현무가 빵 사이에 정어리를 끼워 먹고 있다. [사진 JTBC 방송 캡처]
![지난해 11월 방영된 JTBC 프로그램 '톡파원 25시'에서 MC 전현무가 빵 사이에 정어리를 끼워 먹고 있다. [사진 JTBC 방송 캡처]](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5/30/52b02877-191a-4d88-8cb5-06fe45e507fd.jpg)
지난해 11월 방영된 JTBC 프로그램 '톡파원 25시'에서 MC 전현무가 빵 사이에 정어리를 끼워 먹고 있다. [사진 JTBC 방송 캡처]
6월 중순 이후 집중 포획
30일 해양수산부ㆍ경남도ㆍ창원시 등에 따르면 이들 기관은 지난 25일 정어리 집단폐사 대책을 논의했다. 지난해 10월 한 달 동안 창원 진해만(마산만 포함) 일대에서만 정어리 폐사체 226t이 발생, 도심지ㆍ관광지 주민이 악취로 곤욕을 치렀다.

지난해 10월 경남 창원시 마산만 일대에 집단 폐사한 정어리 떼 모습. 연합뉴스
또 15㎝ 이상 성어는 통조림 등으로 가공하거나 냉동해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를 위해 지역 내 가공업체와 협의하고 있다. 경남도 등은 통영ㆍ거제ㆍ사천ㆍ고성ㆍ남해 ㆍ창원 등에서 정어리 어획이 가능한 정치망ㆍ연안선망 업계와 협의, 6월 중순 이후 정어리 포획에 나설 계획이다.
하지만 6월 이후 성어로 자란 정어리 가격은 1.5㎏당 약 9000원으로 상품성이 떨어진다. 사료용 으로 쓰일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경남도 관계자는 “지역 가공업체와 논의해 정어리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방안을 계속 강구할 것”이라며 “집단 폐사가 발생하더라도 관계기관이 협업, 신속히 수거해 사료화하거나 소각할 처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때 ‘인기魚’ 정어리…햄버거 레시피까지
![1970년대 동해에서 별로 잡히지 않던 정어리가 풍어를 이뤄 부산항에 서 잡히고 있다. [중앙포토]](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5/30/723d9600-0dfd-4ee6-a497-bcf5285b7575.jpg)
1970년대 동해에서 별로 잡히지 않던 정어리가 풍어를 이뤄 부산항에 서 잡히고 있다. [중앙포토]
수과원에 따르면 국내 정어리 어획량이 많았던 해방 이전인 1930년대엔 정어리를 튀기거나 조려 먹었다.
1940년대부터 정어리 어획량이 크게 줄었지만, 1970년대 들어 어획량이 다시 차츰 늘더니 1980년대 급증했다. 1983년엔「6월말 10만9000t을 잡아 정어리 豊年(풍년) 해방 이후 “최대”」 제목의 기사가 보도되기도 했다. 1987년엔 19만4000t이 잡혀 통조림 등 가공식품으로 팔렸다.
![1988년 3월 17일 매일경제 13면 ‘정어리 헬스버거 10종 소개’ 제목의 기사. [사진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캡처]](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5/30/7122eb32-f0a0-4329-96e5-2e621c920e59.jpg)
1988년 3월 17일 매일경제 13면 ‘정어리 헬스버거 10종 소개’ 제목의 기사. [사진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캡처]
들쭉날쭉 어획량…상품화 가능할까?
![정어리. [중앙포토]](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5/30/d001f749-3add-4649-910f-b4a65066cd63.jpg)
정어리. [중앙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