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의 모습. 김성룡 기자
복수의 정개특위 관계자에 따르면 여야는 ‘지구당 부활’과 관련한 대부분의 협의를 마쳤다. 정개특위 소속 민주당 의원은 “지금은 정치자금법이 많이 강화돼, (지구당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적다”며 “후원금 회계 신고 및 유급사무원 숫자 등 이견이 있던 부분도 거의 좁혀졌다”고 밝혔다. 정개특위 소속 국민의힘 의원도 “곳곳에서 불법으로 운용 중인 지구당이 수면 위로 나오면 오히려 더 투명하게 운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회창 전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가 2003년 12월 15일 대선자금과 관련, 회견을 한 뒤 대검찰청에 출두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정치권 안팎에선 지구당 폐지로 양당의 ‘팬덤정치’가 외려 극심해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박상훈 국회미래연구원 연구위원은 “지구당 폐지로 인해 책임성이 부족한 익명 당원들이 당을 지배하고 있다”며 “지구당은 당원 관리를 통해 책임 있는 당원들이 의사 결정을 주도하게 만들어 과다 대표를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의 한 재선의원도 “팬덤 정치 극복을 위해서는 지구당이 필수”라며 “천만 당원들의 얘기를 골고루 들을 수 있는 창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 들머리에 이재명 대표 지지자들이 보내온 화환들이 놓여있다. 뉴스1
현역의원들의 반대도 또 하나의 걸림돌이다. 지구당이 부활하면 국회의원이 아닌 원외 위원장들도 합법적으로 정치자금을 모으게 돼 ‘현역 프리미엄’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정개특위의 한 관계자는 “지역의 현역 의원들은 ‘왜 원외 위원장 좋은 일을 해주냐’는 반대의 목소리도 있다”며 “현역부터 기득권부터 내려놓아야, 지구당이 팬덤 정치의 제도적 대안으로 부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