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1일 담화를 내고 "군사정찰위성은 머지않아 우주 궤도에 정확히 진입하여 임무 수행에 착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담화 전날인 지난달 31일 시도했던 위성 발사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조만간 2차 발사에 나설 것임을 재확인했다.
김여정은 담화에서 "군사정찰위성문제에 그리도 불안 초조해하는 미국과 그 주구들의 심리를 읽으며 적들이 우리가 정찰위성을 포함한 우수한 정찰정보수단을 보유하게 되는 것을 제일 두려워한다는 것을 재삼 확인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지난해 8월 10일 평양에서 열린 전국비상방역총화회의에서 공개연설을 하는 모습. 김여정은 1일 담화에서 군사정찰위성을 조만간 재발사할 것임을 예고했다. 노동신문, 뉴스1
단 구체적 발사 시기는 언급하지 않았다. 대신 전날 북한 우주개발국이 "과학 기술적 대책을 시급히 강구하며 여러 가지 부분 시험들을 거쳐 가급적으로 빠른 기간 내에 2차 발사를 단행할 것"이라고 했던 것처럼 '머지 않아'라고만 밝혔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달 16일 정찰위성 발사준비위원회 사업을 현지 지도하는 모습. 사진 왼편에 있는 물체가 북한이 '만리경-1호'로 명명한 군사정찰위성-1호로 추정된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美, 위성 규탄은 자가당착 궤변"
그는 "남들이 다 하는 위성발사를 놓고 그 목적 여하에 관계없이 탄도로케트(로켓)기술 이용을 금지한 유엔 안보이사회 결의에 걸어 우리(북한)만이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은 억지 논리"라고 했다. 특히 미국을 특정해 "우리의 위성 발사가 굳이 규탄을 받아야 한다면 미국부터 시작하여 이미 수천 개의 위성을 쏘아 올린 나라들이 모두 규탄을 받아야 한다"며 "그야말로 자가당착의 궤변 외에 다른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한국형 우주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지난달 25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뉴스1
실패한 '천리마-1형' 발사 장면도 공개

북한이 지난달 31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새발사장에서 쏜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의 발사 장면을 1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개했다. 연합뉴스
다만 북한이 이날 김여정 담화와 실패한 위성 발사 장면이 담긴 사진을 공개한 매체는 조선중앙통신이다. 조선중앙통신은 북한 주민들은 볼 수 없는 대외용 매체다. 북한 내부엔 발사 실패를 알리지 않은 것으로 관측된다.
"미국과 대화 필요성 느끼지 않아"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4월 26일(현지시간)소인수회담을 마치고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강정현 기자
또 "우리는 미국과의 대결의 장기성을 잘 알고 있으며 전망적인 위협과 도전들을 의식하고 포괄적인 방면에서 전쟁억제력 제고에 모든 것을 다해나갈 것”이라며 핵·미사일 개발을 계속할 것임을 알렸다. 그러면서 “미국과 그 주구들이 계속 우리의 주권적 권리를 침해하는 망동을 부리려 할 때에는 결코 지켜보고만 있지 않을 것"이라고 위협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미국의 대북적대시 정책이 전환되지 않는 한 '내 갈 길 가겠다'는 메시지를 다시 분명히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