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시아 안보회의에서 리샹푸 중국 국방부장(왼쪽)과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의 회담이 무산됐다. AFP=연합뉴스
미국 역시 회의 기간 남중국해에서 미ㆍ일ㆍ필리핀 3국 간 첫 해상훈련에 돌입하며 중국을 자극했다. 양보 없는 신경전 속에 양국 국방장관의 접촉 여부는 이번 회의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샹그릴라 대화’로 불리는 다자간 안보회의는 2일 싱가포르에서 개막해 4일까지 이어진다. 영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주관으로 총 49개국 600여 명의 국방 관리, 무기 제조업체 및 보안 분석가들이 참석했다.

리샹푸 중국 국방장관(왼쪽)은 1일 싱가포르를 방문해 응엥헨 싱가포르 국방장관과 회동했다. 중국 관영 CCTV는 양국 장관이 ‘군사 문제에 관한 핫라인 구축 양해 각서’에 서명했다고 전했다. AP=연합뉴스
이어 “미국은 양국 관계의 진전이 없는 것에 대해 중국 탓을 하지만 미국이 어떤 선의의 행동도 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라며 “G7 정상회담 성명서에서 미국은 중국을 가장 날카롭게 공격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리 장관 제재 해제는 중국 정부가 지속해서 주장해 온 사안이다. 지난 3월 국방장관에 임명된 리샹푸는 지난 2017년 중국이 러시아 전투기 SU-35 10대, S-400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 관련 장비를 구매한 것과 관련한 중국 군 당국의 핵심 관계자로 지목돼 2018년 9월 미정부 제재 대상에 올랐다. 당시 그는 중국 중앙군사위원회 장비개발부장이었다.
장관 임명 이후 중국은 리 장관이 미국군 최고위 관리들과 접촉할 때의 '모양새'에 관해 미정부에 문제를 제기했고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지난달 21일 G7 정상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곧 풀릴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정작 미 국무부가 이를 부인해 원점으로 돌아가면서 제재는 4년 8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중국 국방부는 지난달 30일 “현재 양국 군 간 교류 중단의 책임은 전적으로 미국에 있다”며 “중국의 입장을 무시하고 있으며 인위적으로 장애물을 만들고 있다”고 비난 성명을 냈고 결국 양국 장관 회담은 시작도 전에 무산됐다.

로이드 오스틴(왼쪽) 미 국방장관과 하마다 야스카즈 일본 방위상이 지난 1일 일본 도쿄 방위성에서 만나 미일 국방장관 회담을 가졌다. 로이터=연합뉴스
리하이둥(李海東) 중국외무대학 국제관계연구소 교수는 “미국의 행동은 전형적인 여론전”이라며 “양국 간 군용기 조우 상황을 만들어 과장하는 것은 의도적으로 아시아안보회의에서 ‘중국 위협’ 여론을 구축하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중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확산시키려는 '꼼수'라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은 안보회의 기간 중 일본, 필리핀과 함께 남중국해에서 해상 훈련에 돌입했다. 남중국해 역시 중국이 대만에 이어 민감하게 반응하는 문제다. 로이터통신은 호주도 참여할 것이라며 이번 훈련은 대량살상무기를 탑재한 선박에 대한 요격 훈련이 포함된다고 보도했다.
![지난달 26일 남중국해 공해 상공에서 미국 공군 정찰기 RC-135 바로 앞에서 근접 비행하는 중국 공군 전폭기 J-16. 미 인도태평양사령부는 지난달 30일 성명에서 “(중국군 전투기의 비행은) 불필요하게 공격적 기동”이라고 평가했다. [AFP=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6/02/7671c74e-a7e5-408f-ae17-711b76a04ddb.jpg)
지난달 26일 남중국해 공해 상공에서 미국 공군 정찰기 RC-135 바로 앞에서 근접 비행하는 중국 공군 전폭기 J-16. 미 인도태평양사령부는 지난달 30일 성명에서 “(중국군 전투기의 비행은) 불필요하게 공격적 기동”이라고 평가했다. [AFP=연합뉴스]
환구시보는 "3자 훈련은 명백히 중국을 도발하고 있으며 남중국해의 긴장을 악화시킬 것"이라며 "미국은 일본,필리핀과 3자 군사동맹 구축을 향해 움직이고 있는데 이는 중국에 군사적, 정치적 압력을 가하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리 장관은 오는 4일 ‘중국의 신 안보구상’에 대해 연설할 예정이다. 그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미국 리더십 확대가 진영 대결로 이어져 지역 평화와 안정을 저해한다는 점을 지적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