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시진핑(오른쪽 두번째)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 고적 보관소인 국가판본관을 찾아 고적 도서의 보존 상태를 살피고 있다. 이날 시 주석은 오키나와 사신록에 대한 설명을 듣고 과거 푸젠성과 오키나와의 교류의 역사가 깊다는 발언을 했다고 인민일보가 4일 보도했다. 신화=연합뉴스
홍콩 성도일보는 8일 “시진핑, 류구(琉球, 오키나와의 옛 이름)를 이례적으로 언급”이란 칼럼을 싣고 “류구는 일찍이 독립왕국이었다. 명·청(明·淸) 시기에는 중국의 번속국이었다”고 강조했다. 신문은 “1879년 류구가 일본 정부에 강제 합병되면서 오키나와(沖繩)로 개명했지만 청 조정은 승인하지 않았다”면서 “중일 갑오전쟁(청일전쟁의 중국식 명칭) 후 청 조정이 ‘시모노세키 조약(馬關條約)’에 서명하면서 대만과 부속 도서(댜오위다오(釣魚島, 일본명 센카쿠 제도) 포함)를 일본에 할양했고, 오키나와의 주권 지위를 따질 힘이 없었다”고 부연했다. 과거 독립왕국으로 청에 조공 사절을 파견했던 오키나와의 종주권을 중국이 강제로 일본에 빼앗겼다는 취지의 서술이다.

친중성향의 홍콩 성도일보가 8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지난 1일 오키나와 발언을 다룬 칼럼을 게재했다. 성도일보 캡쳐
이어 성도일보는 10년 전 오키나와의 주권에 문제를 제기했던 인민일보의 관련 기사를 다시 언급했다. “10년 전 인민일보가 중국사회과학원의 학자 장하이펑(張海鵬)과 리궈창(李國强)의 “‘시모노세키 조약’과 댜오위다오 문제를 논함”을 게재했다”며 “댜오위다오의 중국 회귀(반환)뿐만 아니라 역사상 해결되지 않은 오키나와 문제 역시 다시 논의할 시기가 됐다”는 당시 기사 요지를 재차 거론했다.

10년전인 2013년 5월 8일자 인민일보 9면에 게재된 “시모노세키 조약과 댜오위다오 문제를 논함” 기사. 바이두 캡쳐
성도일보는 시 주석의 오키나와 발언을 일본의 대만 개입에 대한 견제와 연결시켰다. “비록 일본이 최근 ‘대만 유사는 일본 유사와 같다’며 부추기고, 리궈창(실제는 장하이펑)이 ‘오키나와 지위를 다시 논의하는 문제를 제출해야 한다’는 글을 발표하며 미국 패권에 반격하고 있지만, 이는 오키나와의 자결을 지지하는 것이지 오키나와를 중국 소유로 수복하기 위함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베이징 정부가 오키나와 주권 문제로 확대할 것으로 당분간 보이지 않는다는 식으로 수위 조절했다.

장하이펑 현 중국사회과학원 학술위원이 지난 5월 17일 혁명원로자제 친목 사이트에 “오키나와 지위를 재논의하는 문제를 제출해야 한다”는 글을 게재했다. 장 위원은 한국과 일본이 미국과 밀착하는 상황에서 오키나와의 지위를 재논의 하는 것은 전략적으로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인터넷 캡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