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예찬 국민의힘 청년최고위원이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장 최고위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그렇게 억울하면 당당하게 토론해서 국민들의 판단을 구하자”고 했다.
앞서 김 의원은 전날 국민의힘 코인게이트 진상조사단장을 맡은 김성원 의원과 장 최고위원원을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한다고 밝혔다.
장 최고위원은 “언제 어디서 어떤 방식으로 해도 좋다. 열린공감TV나 더탐사에서 해도 상관없다”며 “그동안 김남국 의원이 남긴 거짓 해명들, 언론과 전문가들이 제기한 의혹들, 토론으로 뭐가 맞고 틀린 지 검증하자”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을 향해 “허위사실에 의한 명예훼손으로 저를 고소했는데 성립 자체가 불가능한 고소”라며 “첫째 대체 무엇이 허위인지 모르겠다. 둘째 김남국 의원에게 훼손당할 명예가 남아있나”라고 했다.
장 최고위원은 “주말 동안 김남국 의원의 답변을 기다리겠다. 고소할 정신은 있으면서 토론을 회피하는 비겁한 모습을 보이지는 않겠지”라며 “남자답게 토론하자”고 덧붙였다.
국회 윤리특위 윤리심사자문위는 지난 8일 회의를 열어 거액의 가상자산 보유·거래 논란으로 김 의원의 징계안에 대한 첫 심사에 착수했다.
유재풍 자문위원장은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16일 다시 자문위 회의를 열고 김 의원 소명을 듣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회법에 따르면 윤리특위는 자문위에 징계안을 회부하고 징계 심사 전 자문위원들의 의견을 청취해야 한다. 자문위 활동 기간은 최장 60일이다.
윤리특위는 자문위가 사실관계 검토 등을 거쳐 징계 의견을 내놓으면 이를 징계심사소위로 넘겨 심의한 뒤, 전체회의에서 징계 수위를 결정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