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北위성 예고기간 종료에도 패트리엇 유지 ‘경계 계속’

북한이 지난달 31일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새발사장에서 쏜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의 발사 장면을 1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했다. 이 로켓은 엔진 고장으로 서해에 추락했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발사 후 2시간 30여분 만에 실패를 공식 인정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이 지난달 31일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새발사장에서 쏜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의 발사 장면을 1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했다. 이 로켓은 엔진 고장으로 서해에 추락했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발사 후 2시간 30여분 만에 실패를 공식 인정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이 정찰위성 발사를 예고한 기간이 11일 오전 0시로 끝났지만 일본 정부는 당분간 패트리엇 미사일 요격 부대 배치 등을 유지할 방침을 굳혔다고 아사히 신문이 보도했다.

이날 아사히 보도에 따르면 방위성은 북한이 지난달 31일 정찰위성 발사에 실패한 뒤 조기에 2차 발사를 단행할 것을 예고한 만큼 당분간 경계를 이어갈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앞서 하마다 야스카즈 방위상은 북한의 위성 발사 예고 기간에 맞춰 자위대가 낙하물 등을 요격할 수 있는 ‘파괴 조치 명령’을 내렸다.

이와 관련해 오키나와현 섬 3곳에 지대공 유도탄 패트리엇 부대가 배치됐고 요격 미사일을 탑재한 이지스함이 동중국해에 전개됐다.

북한은 애초 5월 31일 0시부터 6월 11일 0시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일본과 국제해사기구(IMO) 등에 사전 통보한 바 있다.


이어 예고기간 첫날인 지난달 31일 발사체를 쏘아올렸지만 실패하고 “가급적 빠른 기간내에 제2차 발사를 단행할 것”이라는 뜻을 표명했다.

또 북한은 IMO가 북한 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는 결의문을 채택하자 이에 반발해 앞으로는 위성을 쏘더라도 사전에 통보해주지 않을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기사 어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