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한국은행이 외부감사 대상인 기업 3만129곳을 대상으로 경영실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5.3%로 1년 전(6.8%)에 비해 하락했다. 이는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매출액 대비 매출원가 비중(77.6%→80.1%) 증가폭이 커진 영향이다.
이에 따라 기업이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부담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이자보상비율(이자보상배율)은 2021년 역대최고치인 654%에서 지난해 455.4%로 대폭 하락했다.

김영옥 기자
특히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인 취약기업 비중은 34.1%에서 35.1%로 1%포인트 증가했다. 취약기업 수로 보면 2021년 1만269곳에서 지난해 1만585곳으로 316곳 늘었다.
기업 부채비율과 차입금 의존도도 비제조업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모두 상승했다. 부채비율은 102.4%로 2014년(106.5%)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업 자산(자본+부채) 중 은행 등 외부에서 조달한 차입금 비중을 의미하는 차입금 의존도도 역대최고치(2019년 28.3%)와 유사한 28.2% 수준이다. 차입금 의존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이자 등 금융비용에 대한 부담이 커서 수익성이 떨어지게 된다.
다만 지난해 기업 매출액은 16.9%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1년 전(17.7%)에 비해 소폭 하락했지만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2020년(-3.2%)에 비하면 꾸준히 성장하는 추세다. 이성환 한은 기업통계팀장은 “석유정제ㆍ전기가스업은 제품가격 상승 등에 힘입었고, 자동차와 조선업은 업황이 개선돼 수출이 늘었다”며 “2022년 기업경영분석 결과는 우려보다는 좋은 수준이라 의외로 선방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