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웅 쏘카 전 대표. 연합뉴스
이 전 대표는 13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자기가 기득권과 싸우는 을이라 믿는 박홍근 의원을 비롯한 많은 무능한 정치인들은 이제 3, 4선에 의원 생활만 10~15년 한 기득권이 돼 버렸고, 혁신을 외치다 스스로 혁신 대상이 돼버렸는데도 자신만 모르고 있다"며 "남의 발목 잡는 것과 남 탓하는 것, 그리고 자기 표밭 관리 말고는 아무런 능력도 관심도 없는 사람들은 반성하고 물러날 때가 됐다"고 일갈했다. 이 대표는 기사 포함 렌터카 호출 서비스 '타다'를 만든 인물이다.
이 전 대표가 이런 글을 올린 이유는 박 의원이 최근 공개한 입장문 때문이다. 타다의 무죄 판결이 확정된 후 박 의원과 타다금지법에 혁신을 가로막았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심지어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까지 타다금지법 입법을 추진했던 과거를 반성하며 사과를 전했다.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의원. 뉴스1
이어 "최근 당 내 몇 분들의 주장은 저 뿐만 아니라 모빌리티 혁신을 위한 문재인 정부와 국회의 노력을 일거에 폄훼하고 새로운 산업의 발목이나 잡는 집단으로 매도한 행위"라고 주장했다.
이 전 대표는 이런 박 의원의 주장에 "박 의원은 혁신에 대한 경험은커녕 모빌리티나 교통에 대한 전문성도 없으면서 자신의 지역구에 택시 사업자가 많다는 이유만으로 타다금지법을 통과시켰다"며 "타다금지법 심의 당시 제가 여러 번 만나 달라고 했지만, 박 의원의 답은 '만날 필요 없다', '혼자 혁신가인 척하지 말라'는 조롱이었다"고 꼬집었다.
이 전 대표는 아울러 "새로운 산업의 발목을 잡아 놓고서는 매도당해서 억울하다고 궤변을 늘어놓는 모습이 적반하장"이라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우리 사회에서 혁신을 꿈꾸던 이들이 크게 좌절한 것은 1심 법원에서 무죄가 났는데도 타다금지법이 택시 혁신법이라고 강변하면서 통과시킨 박 의원 같은 사람이 국회의원으로 있기 때문"이라며 "모두가 패자가 돼 버린 타다금지법 사건에서 우리가 얻어야 할 교훈"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