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cus 인사이드] 부산을 지켜낸 학도병의 3시간 30분

6ㆍ25 전쟁 발발 한 달 뒤, 학도병 183명을 이끌고 화개장터 뒷산에서 인민군 6사단의 선봉을 저지한 정태경 중위(예비역 육군 중령)가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5세.  

2004년 경남 하동군에서 유해와 함께 발굴된 학도병의 회중시계. 10시 30분에 멈춰 있다.

2004년 경남 하동군에서 유해와 함께 발굴된 학도병의 회중시계. 10시 30분에 멈춰 있다.

 
1928년 부농의 아들로 태어나 서울대 광산학과를 졸업하고 육사 8기생으로 임관한 고인은 전주에서 5사단과 7사단의 낙오 병력으로 급조된 15연대 소속으로 여수ㆍ순천 지역의 학도병을 모아 국군의 서부 측면 최전선에서 7월 25일 새벽 적과 맞섰다. 화개장터전투는 학도병이 투입된 최초의 전투로 손꼽힌다.

낙동강 방어선에 주력을 투입했던 국군과 미군은 오랜 장마 뒤에 정찰기를 띄우고서야 인민군 6사단이 전력을 고스란히 보존한 채 하동 부근까지 내려왔다는 사실을 뒤늦게 파악하고 대경실색했다. 자칫 하동ㆍ마산이 뚫리면 피난 수도 부산이 위험해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절체절명의 순간에 정 중위와 학도병 183명은 화개장터에서 압도적 화력의 적을 만나 정면 대응했다.

전투는 1950년 7월 25일 오전 4시 30분 화개장터 뒷산에서 시작했다. 매복한 아군의 일격을 당한 인민군은 전차를 앞세워 진격하며 박격포를 쏘아댔다. 인민군이 아군 진지까지 올라와 따발총을 난사하는 지경에 이르자 정 중위는 오전 8시 후퇴 명령을 내렸다. 하동 부근까지 정신없이 달려 인원을 점검하니 50여명이 보이지 않았다.

정태경 예비역 육군 중령 영정 사진.

정태경 예비역 육군 중령 영정 사진.

 
인민군의 발목을 3시간 30분 동안 붙잡았던 학도병은 불과 3일 전에 소총을 지급 받았다. 학도병들의 상대는 인민군 6사단. 중국의 국공내전부터 실전경험을 쌓은 최정예부대였다. 미군의 융단폭격으로 낙동강 전선에 도달할 즈음 공세소멸점에 도달한 다른 인민군과 달리 개전 초 전력을 그대로 갖고 있었다. 한강을 처음 건넌 뒤 충청도와 전라도 일대를 휩쓸고 하동을 거쳐 동쪽으로 진격할 참이었다.


급히 달려온 미군은 이틀 뒤인 27일 하동 쇠고개에서 전투를 시작, 30일 진주로 후퇴하기까지 전사와 실종 349명, 부상 52명, 포로 100여명이라는 최악의 희생을 치렀지만 전열을 정비할 시간을 벌었다. 남은 학도병을 이끌고 미군과 함께 싸운 고인은, 초전 패배의 책임을 지고 육군참모총장에서 물러나 이 전투에 참가했던 채병덕 장군의 전사를 옆에서 목도한 주인공이기도 하다.

인민군의 진격은 진동전투에서 우리 해병대와 미 25사단에 의해 결국 막혔다. 미군 정보당국이 ‘splendid(인상적인)’ 기동이라고 평가했던 적의 진격을 정 중위와 학도병들의 분투 덕분에 한미 양국은 병력을 급파할 시간을 벌어 부산 서쪽을 방어할 수 있었다. 화개장터 전투는 일방적 패배지만 전략 차원에서는 6ㆍ25전쟁의 향방을 결정한 전투로 손꼽힌다.  

경남 하동의 6ㆍ25 참전 학도병 위령비

경남 하동의 6ㆍ25 참전 학도병 위령비

 
학도병들과 함께 공비 토벌작전에 투입되기도 했던 고인은 휴전 성립 후 주로 군 교육기관에서 교수 요원으로 지나다 1968년 중령으로 예편, 광업공사에서 일했다.  

▶정태경씨 별세, 최용란씨 남편상, 정정헌(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ㆍ정정권(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부친상, 신창재(교보생명 회장)ㆍ김효명(전 고려대 의료부총장) 장인상=10일 삼성서울병원, 발인 12일 오전 7시 30분, 장지 서울현충원. 02-3450-3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