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이 14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한 위원장은 앞서 교육부로부터 넘겨받은 ‘사교육 카르텔·부조리’ 신고사항 24건에 대해 “학원·인터넷강의 업체들이 강사의 수능 출제 이력, 대학 합격 실적 등을 거짓·과장 광고한 사실이 있는지 조사하고 있다”며 “9월 내 조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철근 누락 아파트 입찰 담합 조사는 연내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한 위원장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발주한 감리용역 입찰 건들은 연내 조사를 완료하고 그 결과에 따라 심의 절차에 착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사가 마무리되면 공정위는 과징금 등 제재 수위를 담은 심사보고서(검찰 공소장 격)를 최종결정 기구인 전원회의(법원 1심 기능)에 상정한다. 제재 수위는 전원회의에서 결정된다.
“중견 집단, 내·외부 감시 부족해”
업계에 따르면 이날 공정위는 오뚜기와 광동제약에 조사관을 보내 현장조사를 벌이는 등 부당 지원 혐의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공정위는 중견 기업집단의 내부거래 현황 모니터링에서 이들을 포함한 다수 중견 기업집단의 부당 지원 혐의를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독과점 플랫폼 반칙행위 집중감시”
다만 공정위는 중소 플랫폼 등의 혁신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공정거래법상 '시장지배적 사업자 추정요건' 완화를 추진한다. 현재는 한 시장에서 1개 사업자의 점유율이 50% 이상이거나, 3개 사업자의 점유율 합계가 75% 이상인 경우 시장지배적 사업자로 추정한다. 이때 연간 매출액 또는 구매액이 40억원 미만인 사업자는 제외하는데, 공정위는 이 기준을 80억원 미만으로 상향할 계획이다.
이 외에 가맹 본사의 법적 의무를 현행 가이드라인이 아닌 법령에 명시하는 안을 추진한다. 가맹 본사의 불공정행위 규제를 강화해 필수 품목 구매 강제 등 가맹 '갑질'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겠다는 취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