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픽=최종윤 yanjj@joongang.co.kr

차준홍 기자
김현 이화그룹 소액주주연대 대표는 “이화전기는 7.04%, 이아이디는 5.4%로 1차 공동보유계약을 완료했고 이를 근거로 다트에 주식 대량보유보고를 공시했다”며 “나머지 지분 확보도 진행할 예정으로 임시 주주총회를 여는 등 상법에서 보장하고 있는 대주주의 권리와 위치를 확보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어떻게 모았나? “SNS와 소액주주 위임 플랫폼 활용”
김현 대표는 “유튜브, 카카오 오픈카톡방, 네이버 카페와 밴드 등 가능한 모든 온라인 소통창구를 통해 소수 주주와 소통해 지지와 연대를 끌어냈다”고 설명했다.
유튜브 구독자는 5000명, 네이버 카페 가입자는 3000명, 카카오 오픈톡 참여자는 1500명에 이른다. 카카오 오픈채팅방을 통해서는 매일 오전 9시부터 저녁 11시까지 질문을 받으며 소통하고 있다. 이렇게 모인 이화그룹 소액주주 연대 참여자는 변호사 없이 소송해 주주 명부를 얻어내기도 했다. 이후 명부로 확인한 주소로 참여방법을 알리는 우편물 6000장 넘게 발송했다.

이화그룹 소액주주연대가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발송한 등기 (자료=이화그룹 소액주주연대)
소액주주 플랫폼 액트를 통해 전자 위임이 가능해진 점도 주요했다. 이 플랫폼을 활용하면 온라인 인증만으로 손쉽게 개인투자자의 지분을 위임받아 모을 수 있다. 액트는 2015년 바이오 광풍이 불었을 때 몰락한 주식커뮤니티와 소액주주 행동가 중심으로 만들어졌다.

소액주주 온라인 지분 위임을 받을 수 있는 플랫폼 액트
왜 분노하나? “거래소, 기관투자자 믿을 곳이 없다”
그뿐만 아니다. 회사의 거짓 공시를 보고 한국거래소가 5월 11일 거래를 재개했다가 하루 뒤인 12일 거래를 재정지하는 초유의 상황이 벌어지며 투자자의 피해가 커졌다.
한국거래소 공시 담당 관계자는 “거래소는 빠른 시간 안에 회사의 공시를 배포해야 하는 만큼, 회사가 제공한 정보와 정기 공시 등을 확인한 후에 거래 재개를 결정했다”며 “그런데 12일 국가기관에서 횡령·배임과 관련해 상장적격성 실질심사에 해당하는 자료를 통보해 와 지체없이 조회공시와 거래정지를 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거래소 측은 국가기관에서 공시와 관련해 직접 연락을 해 온 건 처음 있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여기에 기관투자자의 ‘기막힌 매도’ 마저 벌어졌다. 메리츠증권이 지난 5월 10일 거래정지 바로 직전 보유 중인 이화전기 지분을 전량 매도한 것이다. 결국 ‘내부정보를 활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었고, 현재 금융감독원이 조사에 들어간 상황이다.
김현 대표는 “거래소는 책임이 없다고 하고, 기관투자자는 손해 없이 팔고 나가 소액주주만 고스란히 피해를 떠안은 상황”이라며 “횡령한 경영진은 물러날 생각도 없고, 회사 역시 이들을 바꿀 의지가 없어 소액주주가 행동하는 수밖에 없다”고 억울함을 호소했다.
1차 목표는 “개선 기간 부여해달라”
한국 거래소 측은 “상장실질심사는 해당 법인의 영업의 지속성, 재무건전성, 경영투명성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한다”며 “만약 주장대로 소액주주들이 1대 주주가 돼 쇄신을 이뤄낸다면 경영투명성 측면에서는 긍정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세를 결집하며 행동에 나서고 있는 곳은 이화그룹 뿐만이 아니다. 액트 플랫폼에 따르면 소액주주운동 펼치고 있는 DI동일도 소액주주 지분을 10.78%나 모았고, 대유의 경우도 9% 가까운 지분을 확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