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은 15일 이동통신 3사 대표들을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가계 통신비를 고물가 주범으로 보고 통신 요금 인하에 집중한 정부가 해마다 급증하는 단말기 가격 부담도 완화할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이 15일 오후 정부과천청사에서 진행된 이동통신 3사 대표이사와 첫 회동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이 위원장, 김영섭 KT 대표,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 연합뉴스
무슨 일이야
무슨 얘기 오갔나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이 15일 오후 정부과천청사에서 진행된 이동통신 3사 대표이사와 첫 회동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단말기 가격 부담: 통신업계는 “정부 정책으로 통신 요금은 인상 폭이 제한되고 있지만, 단말기 가격은 매년 큰 폭으로 오르고 있다”며 단말기와 통신서비스 요금 간 분리 고지, 단말 가격 인하 필요성을 주장한다. 이날 이 위원장은 고가 요금제뿐만 아니라 고가 단말기 위주의 판매 정책도 꼬집었다. “단말기 가격과 통신서비스 요금체계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해 국민의 부담을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하자”고 주문한 것. 지난달 18일 국회 인사청문회 당시 이 위원장이 “스마트폰 가격이 굉장히 비싸다며. 단통법(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이를 개선해야 한다”고 밝힌 만큼 관련 법 개정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 불법 스팸 문제: 불법 스팸과 보이스 피싱 차단을 위해 앞장서달라는 주문도 있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스팸 문자·메신저를 통한 스미싱 피해 규모는 2019년 200억원, 2020년 587억원, 2021년 1265억원으로 매년 2배 이상 늘고 있다. 일각에서는 대형 통신사가 연간 수천억 규모의 매출을 올리기 위해 스팸 문자 차단 노력을 소홀히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 위원장은 “불법 스팸 발송자가 개통할 수 있는 전화 회선 수를 제한하고 블랙리스트 사업자를 차단하는 등 사전적인 조치를 강화하는 한편 인공지능을 활용해 스팸 필터링 기술을 혁신하는 등 근본적인 개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지난 2월 서울 용산의 한 휴대폰 매장에 통신 3사의 로고가 붙어 있다. 연합뉴스
이날 회동에선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 등 유료 방송에 통신사가 지급하는 콘텐트 사용료(재송신료) 문제도 다뤄졌다. 현재 통신사 IPTV와 케이블TV 같은 유료 방송은 방송사가 만든 뉴스, 드라마, 예능 등 콘텐트를 가입자에게 제공하고, 이들 가입자 1명당 일정 수준의 콘텐츠 사용료(재송신료)를 방송사들에 지급하고 있다. 이때 지상파 방송사들이 받는 콘텐트 사용료가 종편보다 더 많다. 방통위 관계자는 “이 위원장이 지상파와 종편의 콘텐트 사용료가 공정하게 지급되지 않는 부분에 대한 얘기를 꺼냈다”며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적절한 사용료 지급이 필요하며, 필요할 경우 방통위가 조정 및 중재 역할을 맡겠다고도 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