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초기인 2020년 1월 중국 우한의 모습. 노인이 마스크를 쓴 채 길에 쓰러져있다. AFP=연합뉴스
2003년 중국과 홍콩을 중심으로 세계적으로 수천 명의 목숨을 앗아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코로나19는 모두 코로나바이러스 질환이었다.
스 박사 연구팀은 코로나바이러스 40종의 인간 전염 위험을 평가한 결과 절반인 20종의 전염 위험이 매우 높다고 평가했다.
그는 "미래에 질병이 출현할 것이 거의 확실하며 이는 또다시 코로나바이러스 질병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경고했다. 스 박사 연구팀은 또한 박쥐, 설치류 같은 자연 숙주나 낙타, 사향고양이, 돼지, 천산갑 등 잠재적 중간 숙주 등 병원균의 중요한 숙주들을 확인했고 밝혔다.
이 논문은 지난 7월 영어 학술지 '신흥 미생물·감염'에 발표됐지만 이달에야 중국 소셜미디어에서 주목받기 시작했다고 SCMP는 설명했다.
한편, 우한바이러스연구소는 그간 코로나19를 일으키는 SARSCoV-2 바이러스 유출설 의혹에 휩싸여왔다.
중국 당국은 "실험실 유출은 절대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반박했고, 스 박사도 뉴욕타임스 인터뷰에서 유출설을 부인했다.
미국 대통령 직속 국가정보국장실(ODNI)은 지난 6월 기밀 해제된 보고서에서 미 정보기관들이 코로나19가 중국 실험실에서 생겨났을 가능성을 여전히 배제하지 않고 있지만 바이러스의 근원을 밝히지 못했다고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