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추절(추석) 대목을 노리는 중국 월병 업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엔데믹 이후 맞는 첫 명절인 만큼 매출 증가에 대한 기대가 크기 때문이다. 중국데이터연구센터가 발표한 ‘2023 중국 월병 산업 백서’에 따르면, 올해 중국 월병 시장은 전년 대비 8% 성장한 263억 위안(약 5조 985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어마어마한 규모의 중국 월병 시장, 올해 두드러지게 나타난 특징은 무엇일까?
「 중국의 전통 과자로, 밀가루와 설탕, 달걀 등을 섞어 만든 피에 팥앙금이나 견과류 등의 소를 넣어 만든다. 둥근 달 모양처럼 생겨 주로 중추절(추석)에 가족의 화목을 기원하며 서로 나눠 먹는다.
」 중추절 월병 시장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2023 중국 월병 산업 백서’에 따르면, 중국에 현존하는 월병 관련 기업 수는 약 2만1000개다. 월병 브랜드도 1만 개가 넘으며, 대표적으로 메이신(美心·Maxim’s), 베이징 다오샹춘(北京稻香村), 위안랑룽화(元朗榮華·WING WAH), 화메이(華美·Huamei), 싱화러우(杏花樓), 광저우주자(廣州酒家) 등이 있다.
신흥 브랜드의 성장세도 매섭다. 이들은 새로운 맛과 트렌디한 포장으로 전통 브랜드 사이에서 약진 중이다. 광저우의 뉴마이란(紐麥蘭)은 아이스 두리안 월병을 출시해 판매량 11만 개를 돌파했다. 쓰촨의 아이다러(愛達樂)는 구운 고추 소고기 맛, 생 코코넛 라떼 맛 월병을 출시해 젊은 층에 인기를 끌었다.
스타벅스가 출시한 월병. 사진 스타벅스 차이나
이밖에, KFC, 피자헛, 스타벅스 등 글로벌 프랜차이즈도 월병 시장에 눈독을 들이며 출사표를 던졌다. 올해 KFC는 고궁박물관과 협업해 궈차오(國潮·애국소비)풍 월병 세트를 출시했으며, 스타벅스도 씨솔트 에스프레소 맛, 블랙페퍼 베이컨 맛 월병 등을 출시해 중국 소비자를 공략했다.
월병도 ‘제로 슈가’ 열풍, 무당·저당 제품 인기
한국과 마찬가지로 올해 중국 식음료 업계를 강타한 키워드는 ‘제로 슈가(Zero Sugar)’다. 중국인들의 건강 의식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무당·저당 제품이 인기를 끌었고, 음료 업계를 중심으로 불던 ‘제로 슈가’ 열풍은 월병 업계로까지 이어졌다.
이에 중국 마트와 온라인 쇼핑몰에는 ‘무설탕’, ‘저설탕’ 라벨을 단 월병 세트가 대거 등장했다. 이는 월병에 들어가는 설탕을 자일리톨, 말리톨, 에리트리톨 등 감미료로 대체한 것인데, 식품 100g당 당 함량이 0.5g 미만이면 ‘무설탕’ 표기를, 5g 미만이면 ‘저설탕’ 표기를 할 수 있다.
한 네티즌이 정리한 저설탕 월병 추천 게시물. 사진 바이두A赫敏姐姐
‘2023 중국 월병 산업 백서’는 “여러 브랜드가 잇달아 저당, 저지방, 저칼로리 월병을 출시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며 “저설탕 월병이 월병 업계의 새로운 성장 포인트가 될 것이다”고 내다봤다.
명절 선물세트로 인기 있는 월병이 한때 수천, 수만 위안을 호가하며 뇌물로도 쓰이자 중국 당국은 지난해 6월 500위안(약 9만 7000원)이 넘는 월병 판매를 제한하는 방침을 내놨다. 이에 더해 올해 9월부터는 화장품과 식품에 대한 과도한 포장을 규제하는 개정된 국가 표준을 시행했다. 국가 표준에 따르면 월병의 포장 겹수는 3단을 초과할 수 없으며, 귀금속 등을 포장재로 사용하거나 다른 제품과 혼합해서 포장해도 안 된다.
이와 같은 규제로 올해 중국 대형마트 가판대에는 고가의 화려한 월병 선물세트가 많이 사라졌다. 베이징르바오(北京日報) 등 현지 매체는 중추절을 앞두고 마트에서 판매 중인 박스 포장형 월병의 가격대는 대부분 100~400위안(약 1만 9000원~7만 8000원) 사이라고 전했다. 다만, 일부 업체는 여전히 상어지느러미, 인삼, 실크 스카프 등의 고가 상품을 월병과 묶어 판매하거나, 온라인에서만 선물세트를 판매하며 단속을 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월병의 판매 경로는 크게 대형마트, 백화점 등 오프라인 매장과 징둥(京東), 티몰(天貓) 등 온라인 쇼핑몰로 나뉜다. 그런데 최근에는 더우인 커머스(抖音電商)등 라이브 커머스를 통한 구매가 훨씬 더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올해 9월 1일부터 20일까지, 더우인 커머스의 월병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84% 증가했으며, 더우인 커머스에서 월병을 구매한 소비자 수도 78% 증가했다.
권가영 차이나랩 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