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교사들이 지난 1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열린 '9.16 공교육 회복을 위한 국회 입법 촉구 집회'에서 국회를 향해 교권 회복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스1
공손해진 학부모 민원, 교장 태도도 바뀐다
학교장이나 교감 등 관리자에게 교권 보호 역할이 부여된 것도 달라진 점 중 하나다. 교권을 보호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은 교장이 징계를 받게 되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 최근 경기도교육청은 2년 전 극단적 선택을 한 의정부의 초등 교사가 악성 민원을 겪을 당시 학교 측이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았다며 교장, 교감에 대한 징계에 착수했다. 대전시교육청도 민원을 받다가 목숨을 끊은 교사가 요청한 교권보호위원회를 개최하지 않은 교장 등을 징계하겠다고 밝혔다.

지난달 22일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에게 교원들의 목소리 전달하는 김용서 교사노동조합 위원장. 연합뉴스
스스로를 적극적으로 지키려는 교사들도 많아졌다. 서울의 한 초등 교사는 “동료 교원 단체 채팅방에서는 ‘바디캠을 샀다’는 얘기가 많다”며 “나도 학생들에게 주의나 훈계를 줄 때는 무조건 기록으로 남길 생각”이라고 말했다. 학교에서 벌어지는 소송을 다수 대리해 온 한 변호사는 “최근에는 학부모가 부당한 요구를 할 때 ‘이건 교권 침해’라고 바로 지적하는 교사도 많다”고 말했다.
“그래도 아직 멀었다”…교사 집회는 계속

최근 대전의 한 초등학교 교사가 학부모의 악성 민원에 시달리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이 발생한 가운데 지난달 14일 오후 가해 학부모가 운영한 음식점 출입문과 유리창에 각종 비난을 담은 쪽지가 가득 붙어 있다. 중앙포토
최대 초등 교사 커뮤니티인 인디스쿨에서는 오는 14일과 28일 국회 앞에서 공교육 정상화와 아동학대 관련 입법을 촉구하는 집회 개최가 논의되고 있다. 교사의 생활 지도를 아동학대 범죄로부터 면책하는 내용의 아동복지법 개정안이 통과돼야 한다는 취지다.
서울의 한 초등 교장은 “지금은 수년간 있어왔던 교권 침해가 특정 사안을 계기로 커진 것 뿐이고 상황은 언제 바뀔지 모른다. 그래서 예산이나 관련 법안 개정이 이번 기회에 꼭 뒷받침돼야 한다는 여론이 계속되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