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희 디자이너
월평균 소득(479만3000원)에서 차지하는 이자 비중도 2.7%로 역대 최대다. 가계 소득은 작년 2분기 엔데믹 전환과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지급 등으로 1년 전보다 12.7% 증가했다가 지난 2분기 기저효과 등으로 0.8% 감소한 반면, 이자 지출은 금리 인상 영향으로 계속 증가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김영희 디자이너

김영희 디자이너
문제는 가계의 이자 비용이 늘어나면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 지난 2분기를 예로 들면 가계의 소비지출은 2.7% 늘어나는 데 그쳐 2021년 1분기(1.6%) 이후 증가율이 가장 낮았다. 물가를 고려한 실질 소비지출은 0.5% 감소하는 등 소비가 둔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는 “고금리긴 하지만 아직도 자산을 키울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부동산을 사는 것이란 인식이 팽배하다. 정부가 주택가격을 떨어뜨린다는 확실한 신호를 주지 않으면 가계부채가 내려가진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업부채와 정부부채도 가계부채 못지않게 빠르게 불어나고 있다. 한국의 GDP 대비 비금융 기업부채 비율은 2017년 147.0%에서 지난해 173.6%로 26.6%포인트 증가했다. 룩셈부르크(38.0%포인트)에 이어 두 번째 큰 증가 폭이다.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이 국제결제은행(BIS) 통계를 기반으로 금융업종을 제외한 기업들의 총부채를 분석한 결과도 비슷하다. 한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는 2021년 기준 113.7%를 기록하면서 외환위기 당시의 108.6%를 넘어섰다.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은 2017년 40.1%였지만 지난해 54.3%까지 올랐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코로나19 기간에 일단 기업을 살리고 보자는 취지로 빚을 늘렸는데, 이제는 부채 조정을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