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월 28일 오전 광주 서구 쌍촌동 무각사에서 광주장애인부모연대 등이 발달장애인 전 생애 권리기반 지원체계 구축을 촉구하며 광주시청 방향으로 오체투지를 하고 있다. 뉴스1
탈시설 장애인 29명 "자립생활에 만족"
정의당 강은미(비례대표) 의원이 확보한 한국장애인개발원의 ‘모니터링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면접조사에 참여한 탈시설 발달 장애인 29명 모두 생활에 만족감을 나타냈다. 탈시설 후 서울의 한 지원주택에 사는 전재민(27)씨는 기자와 만나 “복지관에서 천연비누 만드는 일도 하고, 혼자 살 수 있는 공간이 있어 좋다”고 말했다.

장애인거주시설이용자부모회 소속 회원들이 지난해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탈시설 조례 폐기를 촉구하고 있다. 이들은 탈시설 조례가 중증장애인과 가족을 사지로 내모는 사형선고이며 장애의 특성과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은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뉴스1
탈시설 후 학대나 건강악화 의심 사례도
탈시설 이후 건강이 나빠져 숨진 장애인도 있다. ‘좋아’ ‘싫어’ 수준의 간단한 의사소통만 가능한 중증 발달장애인 김모(사망 당시 45)씨는 만성 변비에 따른 장 폐색증을 앓았다. 김씨는 수술을 했지만, 건강을 회복하지 못했다. 주택 입주 1년 만이었다.
거주시설과 탈시설 정책 병행해야
탈시설에 따른 예산 부담도 만만치 않다. 주택 마련비용과 활동지원사 인건비 등이 기하급수적으로 늘기 때문이다. 서울시가 작성한 ‘탈시설 비용 추계’ 자료에 따르면, 탈시설은 거주시설보다 장애인 한 명당 2배 가량 많은 돈이 든다.

11월 20일 오전 서울지하철 2호선에서 전국장애인철폐연대(전장연)가 탈시위를 벌이고 있다. 뉴스1
"탈시설 아닌 탈시설'화'가 바람직"
유럽 등 선진국도 무조건적인 탈시설을 권장하지 않는다. 덴마크 코펜하겐 장애인 거주시설 무스보어바이쉬드가 한 예다. 다중장애·발달장애 성인 32명이 생활하고 있다. 이 시설 관계자는 “과거에는 이용자 일정을 짜 똑같이 관리했는데, 지금은 이용자 개인 요구나 결정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다”며 “이런 것 역시 탈시설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