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달 15일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이 대폭 확대된다. 연합뉴스
휴일·야간 비대면 진료 가능해진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이 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보완방안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주원 기자
대상 환자도 넓어진다. 지금은 고혈압·당뇨병 등 만성질환 환자는 의원을 다녀온 지 1년이 넘으면 그 의원에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없게 돼 있다. 그 외 질환은 30일을 넘으면 안 된다. 앞으로 이런 제한이 다 풀린다. 진료받은 적이 있는 동네 의원에서 6개월을 넘지 않은 시기에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질환의 종류를 따지지 않는다. 위경련으로 6개월 안에 진료받은 경험이 있다면 감기로 같은 의료기관을 찾을 수 있다는 뜻이다. 박 차관은 “의사가 안전하다고 판단했을 때 질환과 관계없이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응급의료분야 의료취약지 예시. 사진 보건복지부
김한숙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과장은 “이번 보완 방안을 통해 환자가 증상과 상태 변화에 대해 최소한 의사와 상담한 뒤 응급의료센터에 가게 되는 등 응급 상황 때 적절한 의료적 조처가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소아청소년과 ‘오픈 런’ 현상도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한다.
다만 비대면 진료를 통해 의사가 처방한 의약품은 약국에서만 받을 수 있게 한 ‘약국 방문 수령 원칙’은 이전처럼 유지된다. 재택 수령은 섬·벽지 환자, 거동 불편자, 감염병 확진 환자 등만 가능하다.
의사 진료 요구권 명시…안전성도 강화

신재민 기자
비대면 진료 대상 범위가 대폭 확대되면서 의료계와 플랫폼 업계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이정근 대한의사협회 상근 부회장은 “사실상 초진(첫 진료)을 허용한 조처”라며 “‘의원급 재진 중심’이라는 의료계와 협의한 가장 중요한 원칙을 훼손했다. 오진 가능성이 늘어날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선재원 원격의료산업협의회 이사는 “환자 접근성이 확대 돼 업계에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약 배송은 여전히 금지돼 진료 완결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휴일·야간에 비대면 진료를 받더라도 문 연 약국을 찾기 힘들다거나 혼자 사는 1인 가구라면 약 수령이 어려워 이용 혜택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강정화 한국소비자연맹 회장은 “비대면 진료의 취지를 고려해 환자 입장에서 약 배송이 허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 차관은 “약 배송은 약사법 개정이 필요한데 관련 내용은 현재 국회에 제출된 법안이 없다”며 “약계에 많은 이견이 있다. 환자·소비자 단체 등의 의견을 앞으로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복지부에 따르면 전국 약국 약 2만4700곳 가운데 약 39%(수도권 43%)가 평일 오후 8시 이후에도 운영된다. 토요일에는 전국 약국 53%, 일요일에는 15%가 문을 연다.

사진 보건복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