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한풀 꺾였다지만, 여전히 3.3%…최상목 경제팀 고삐 죌 듯

김경진 기자

김경진 기자

지난달 물가 상승 폭이 한풀 꺾였지만, 여전히 3%대에 머물렀다. 최근 출범한 윤석열 정부 ‘2기 경제팀’이 풀어야 할 숙제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11월 소비자 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74(2020년=100)를 기록했다. 1년 전보다 3.3% 올랐다. 8월(3.4%)→9월(3.7%)→10월(3.8%)에 이어 넉 달째 3% 상승률이다. 상승세는 둔화했지만, 한국은행의 물가 안정 목표치(2%대)와는 여전히 거리가 있다.

지난달에 이어 장바구니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농·축·수산물 물가가 6.6% 올랐다. 특히 농산물이 13.6% 급등했다. 2021년 5월(14.9%) 이후 30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 사과(55.5%)·쌀(10.6%) 등 주요 품목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다만 국제유가 하락에 따라 전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큰 석유류(공업제품) 물가가 5.1% 줄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으로 구성해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 상승률은 4.0%를 기록했다. 10월(4.6%) 대비 0.6%포인트 줄었다.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도 3.3% 올라 전달(3.6%)보다 상승 폭이 줄었다. 근원물가는 일시적 충격에 따른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 추세를 파악하는 데 쓴다.

정부는 안도하면서도 경계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이날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경기 회복 흐름이 가시화하고 있다”며 “물가 안정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웅 한은 부총재보는 같은 날 “11월 물가가 예상대로 둔화했다”면서도 “앞으로 빠른 둔화를 지속하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고물가 추세가 길어질수록 한은의 금리 인하 시점도 뒤로 밀린다. 지난달 30일 열린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한은은 최소한 내년 상반기까지 기준금리(3.5%) 동결을 시사했다. 같은 날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올해 3.6%, 내년 2.6%로 전망했다. 각각 8월 전망치(올해 3.5%, 내년 2.4%)보다 올려잡았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후보자가 5일 서울 중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진행한 간담회에서 취재진 질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최상목 경제부총리 후보자가 5일 서울 중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진행한 간담회에서 취재진 질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4일 임명된 최상목 신임 경제부총리(전 경제수석)와 지난달 30일 임명된 박춘섭 경제수석 등 새로 출범한 윤석열 정부 ‘2기 경제팀’의 1순위 과제도 물가 안정이다. 고금리 상황에서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맞물리는 ‘스태그플레이션’을 우려해서다. 정부는 가격을 그대로 둔 채 용량을 줄이거나 질을 낮추는 ‘슈링크플레이션(shrink+inflation)’ 단속을 강화하는 등 물가 대책에 고삐를 죌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