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개각 명단에 포함된 6명 장관 중 험지 출마 의사를 밝힌 인사는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유일하다. 서울 양천갑에서 3선 의원을 지낸 원 장관은 “어떤 희생이라 할지라도 마다치 않고 솔선수범하겠다”며 내년 총선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지역구인 인천 계양을 출마도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계양을은 단독 선거구가 된 16대 총선 이래 한 차례 보궐선거(18대)를 빼고 모두 민주당이 승리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현 지역구인 대구 달성에서 3선에 도전한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내리 4선을 한 달성은 대구에서도 손꼽히는 텃밭이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고향인 부산 중-영도 출마가 유력하다. 중-영도는 김형오·정의화·김무성 등 다수의 중진 의원을 배출한 보수 텃밭이다. 국민의힘 탈당 후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황보승희 의원이 현재 지역구 의원이다. 조 장관은 5일 당정 협의회 참석 후 ‘부산 출마가 거론된다’는 기자들 질문에 “부산이 연고 지역이니까”라고 했다.
가장 박 터지는 곳은 경기 성남 분당을이다.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과 김은혜 전 대통령실 홍보수석의 신경전이 치열하다. 분당을은 현재 김병욱 민주당 의원이 재선한 지역이지만 임태희 경기도 교육감이 16~18대 내리 3선을 지낸 곳으로 원래 보수 성향이 강하다는 평가가 있다.
최근엔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도 분당을 집안싸움에 가세할 가능성이 높다. 비례대표 출신인 이 장관은 현재 거주 중인 서울 서초을 출마가 점쳐지곤 했는데, 한 여권 관계자는 “이 장관이 최근 당 지도부에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이력과 스타트업 기업이 몰린 분당과의 연관성을 어필한 것으로 안다. 분당을이 김은혜·박민식·이영 3파전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양지를 지향하는 것은 대통령실 출신도 비슷하다. 서울 마포갑에서 초선 의원을 지낸 강승규 전 시민사회수석은 내년 총선에서 방향을 틀어 고향인 충남 홍성-예산을 겨냥하고 있다. 홍성-예산은 같은 당 홍문표 의원이 내리 4선을 지낸 곳으로 보수 성향이 강한 곳이다. 임종득 전 국가안보실 2차장도 고향인 경북 영주-영양-봉화-울진 출마를 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당 박형수 의원이 현 지역구 의원이다. 안상훈 전 사회수석은 출신 학교(현대고)가 있는 서울 강납갑 출마를 희망한다고 한다. 현재 강남갑 의원은 태영호 의원인데, 태 의원은 최근 “험지 가라면 내려놓고 백의종군하겠다”라며 강남갑 불출마를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