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충남 당진 순성면에서 하천 범람으로 축사가 침수돼 소들이 탈출하고 있다. 뉴스1
기상청에 따르면, 18일 중부에 많은 비를 뿌린 정체전선(장마전선)이 오후 들어 동남쪽으로 이동하면서 수도권의 장맛비는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19일에는 정체전선이 남쪽에 머물면서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19일 새벽부터 오후 사이 전라권과 경북 남부, 경남에 시간당 30㎜ 내외의 매우 강한 비가 집중될 전망이다. 중부지방은 대기 불안정에 의한 강수가 때때로 내릴 것으로 보인다.

18일 오후 5시 30분 현재 기상청 레이더에 잡힌 강수대 모습. 시간당 30~60㎜의 강한 비를 쏟는 비구름 영역(보라색)이 경북 동북부를 지나 동해로 빠져나가고 있다. 사진 기상청
주말인 20일에는 정체전선이 다시 북상하면서 전국 대부분 지역에 시간당 20~30㎜ 내외의 매우 강한 비가 내릴 전망이다. 남부 지방은 오후부터 비가 그치겠지만, 수도권 등 중부 지방은 장맛비가 밤까지 이어질 수 있다.
19일까지 예상 강수량은 수도권 10~40㎜, 강원 내륙과 산지 10~60㎜, 강원 동해안 5~30㎜, 충청권 10~70㎜, 전라권 30~100㎜(많은 곳 120㎜ 이상), 경상권 30~80㎜, 제주도 5~40㎜다. 20일에는 수도권과 충청권 30~80㎜, 강원 내륙과 전북 20~70㎜ 등 중부 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릴 전망이다.
위·아래서 압박…정체전선 중부지방 머문 이유

18일 오전 9시 기준 한반도 주변 상공 수증기(노란색과 붉은색 영역) 흐름 모식도. 사진 기상청
서울도 200㎜ 이상의 많은 비가 내렸다. 노원구 274㎜, 동대문구 252.5㎜, 성북구 252㎜, 중랑구 242.5㎜의 누적 강수량을 기록했다. 강원도에서는 철원(393㎜), 충청권에서는 당진(235.5㎜)에 폭우가 집중됐다.

수도권 등 중부지방에 내린 집중호우로 피해가 잇따르고 있는 18일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 포곡터널 인근 도로 옹벽이 무너져 차량통행이 통제되고 있다. 중부일보=뉴시스
특히 이번 장맛비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북쪽과 남쪽의 기단이 강하게 맞서면서 비의 강도가 거세진 것으로 분석된다. 김영준 기상청 예보분석관은 “한반도 남쪽에서는 북태평양 고기압이 강하게 확장하고, 북쪽에서는 차고 건조한 공기가 회전하며 북한 근처까지 남하해, 두 기단 사이로 남북 폭이 좁은 강한 정체전선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서해상에서 줄지어 유입된 중규모 저기압이 수증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강수량이 많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중부·남부 장마 모두 영향…충청권 추가 피해 우려

18일 호우주의보가 발효된 충북 제천에서 불어난 하천에 5명이 고립됐다가 전원 구조됐다. 사진 충북소방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