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위안화 국제결제망을 확대하는 중국을 겨냥해 “달러를 버리면 관세로 보복하겠다”는 입장을 7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미 대중국 관세를 100%까지 끌어올릴 것이라고 예고했던 트럼프 전 대통령이 그 이유로 기축통화인 달러에 대한 중국의 위협을 든 건 이례적이다. 관련자 사이에선 “트럼프가 경제 참모들과 이 문제에 대해 상당 기간 논의한 결과”라는 얘기까지 나온다. 재집권 시 중국과 ‘통화 전쟁’을 벌일 준비가 돼 있다는 의미다.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위스콘신주 모시니의 공항에서 유세를 마치고 출발하면서 제스처를 취하고 있다. AP=연합뉴스
트럼프는 이날 경합주인 위스콘신주((州) 모시니에서 열린 야외 유세에서 “우리는 지금 큰 포위에 직면한 미국 달러를 세계의 기축 통화로 유지할 것”이라며 “많은 나라가 달러를 떠나고 있는데, 내가 대통령이 되면 그들은 달러를 떠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나는 ‘당신이 달러를 버리면 우리는 당신들 제품에 100% 관세를 부과할 것이기 때문에 당신들은 미국과 거래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실상 대외 무역 등에서 위안화 결제를 강화하고 있는 중국을 겨냥한 발언이었다. 이와 관련, 블룸버그 통신은 관련자들을 인용해 “트럼프와 경제 참모들이 무역결제에서 달러가 아닌 다른 통화를 사용하려는 나라에 대한 ‘처벌’ 방안을 몇 달씩 논의해왔다”고 전했다. 통신에 따르면 수출 통제, 환율조작국 지정, 고율의 관세 등이 보복 옵션으로 올랐다. 이날 트럼프는 이 중 ‘관세 폭탄' 카드를 언급한 셈이다.
중국은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저개발국들에 투자와 차관 등을 빌미로 위안화 국제결제망 이용을 압박하고 있다. 이 중 상당수 국가가 중국에 대한 무역 의존도는 물론 중국계 기업의 핵심 인프라 건설 참여 비중 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런 만큼 “중국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조건이 형성돼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국은 달러를 대신하는 위안화 국제결제 비중을 늘리기 위해 아시아와 아프리카 등지에서 인프라 투자 등을 강화해왔다. EPA=연합뉴스
미국의 제재를 받는 국가들도 중국의 포섭 대상이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서방의 국제결제망(SWIFT)에서 퇴출당한 러시아가 대표적이다. 러시아는 중국과 석유·천연가스 거래에서 위안화 대금 결제 비중을 늘리고 있으며, 민간 무역에서도 이를 확대하는 추세다.
트럼프 캠프는 이런 상황이 “달러의 지위를 급격히 약화시킬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는 이날 유세에서 보호무역 기조를 강조하며 동맹에 대해서도 예외가 아니란 점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동맹들은 소위 ‘적국’보다 우리를 더 부당하게 대우했다”며 “우리는 그들을 지켜주는데, 그들은 무역에서 우리로부터 뜯어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관세 국가’가 될 것이고, 여러분이 비용을 내지 않고 다른 나라들이 비용을 내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전문가 사이에선 “트럼프가 집권 시 모든 수입품에 ‘보편적 관세 10%’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한 만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한국 등도 추가 관세 공격을 받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트럼프는 이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최근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지지를 언급한 것에 대해선 “나는 왜 그가 카멀라를 지지하는지 궁금하다”며 “그는 체스 선수”라고 말했다. 이는 푸틴 대통령이 진심과 달리 정치적으로 발언했다는 이해로 보인다.
“미국 제재에 우려” vs “홍콩 내 기업 활동에 위헙”
온도 차는 있지만, 민주당 역시 대선 가도에서 대중국 압박에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다. 이는 집권 말기에 들어선 조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과 협력을 거론하면서도 대중국 무역 및 투자 제한 조치 기조를 계속하는 배경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 중국 상무부는 이날 중국 톈진(天津)에서 열린 미·중 차관급 워킹그룹 2차회의에서 “미국에 대중국 제재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고 밝혔다. 중국은 미국이 ‘과잉 생산’을 빌미로 추가 관세 및 중국 기업에 대한 제재, 미국 내 불공평한 대우를 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미국 정부는 7일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에 따라 '기업활동 주의보'를 갱신했다. 백종현 기자
한편 미 국무부 등은 이날 ‘기업활동 주의보’를 갱신하면서 “홍콩 내 활동 기업에 새롭고 고조된 위험이 있다”고 관련 기업들에 주의를 당부했다. 홍콩의 국가보안법 시행에 따라 정부 정책 연구, 홍콩의 관료·언론인ㆍ비정부기구 등과 관계 유지도 위험하다는 판단에서다. 앞서 친중파가 장악한 홍콩 입법회(의회)는 지난 4월 분열과 전복, 테러 활동, 외국 세력과 결탁 등 39가지 안보 범죄와 이에 대한 처벌 규정을 담은 국가보안법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이번 주의보 갱신에 대해 홍콩 정부 측은 “미국의 주의보는 홍콩에 투자하려는 사업가들을 겁박하기 위한 요소를 갖고 있다”며 “이런 술책이 성공하진 못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상진 기자 kine3@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