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폴란드와 인접한 독일 동부 괴를리츠 국경에서 독일 연방 경찰이 차를 멈춰세우고 검문을 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독일, 모든 국경서 입국자 검문

낸시 페저 독일 내무장관이 9일(현지시간) 베를린에서 국경 통제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낸시 페저 독일 내무부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번 조치는 불법 이민을 막고 이슬람국가(IS) 등 극단주의 세력의 테러와 같은 심각한 범죄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시도”라고 말했다. 이어 “새로운 유럽 공통의 망명 시스템으로 EU의 외부 국경을 강력하게 보호할 때까지 국경 통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페저 장관은 또 “지난해 10월 이후 국경을 넘으려는 사람이 3만명 넘게 거부당했다”며 “(임시 통제는) 불법 이주를 더욱 제한하고 이슬람 테러리즘과 심각한 범죄로 인한 위험으로부터 국가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앞서 독일은 2015년부터 오스트리아 국경에서 임시 통제를 시행한 뒤 지난해 10월부터 폴란드, 체코, 스위스와의 국경까지 통제를 확대했다. 페저 장관은 주변국들이 이번 조치에 대해 동의했는지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잇따른 흉기 테러…독일 국민 불안

지난 6월 독일 만하임에서 극우정당 독일을위한대안(AfD) 지지자들이 독일국기와 "국경을 닫아라"는 구호가 적힌 플래카드를 들고 시위를 벌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지난달 23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州) 졸링겐시에선 축제 행사장에서 시리아 출신 망명 신청자가 흉기를 휘둘러 3명이 숨지고 8명이 다쳤다. 용의자는 자신이 테러단체인 이슬람국가(IS) 대원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5월에는 반이슬람 운동가들을 공격하던 아프가니스탄 출신 이민자를 제압하던 독일 경찰 1명이 흉기에 찔려 사망했다. 1972년 뮌헨 올림픽 테러 52주기인 지난 5일엔 보스니아계 오스트리아 국적의 18세 남성이 뮌헨의 이스라엘 영사관 등에서 총기를 난사하다 현장에서 사살되기도 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지난달 26일 노스트라인베스트팔렌주 졸링겐에서 시리아 출신 망명자의 흉기 난동으로 숨진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오스트리아 “난민 못받아”…EU 통합 시험대

지난달 26일 독일 졸링겐시에서 극우 성향 시위자들이 "지금 당장 (난민) 재이주"란 구호가 적힌 현수막을 들고 서 있다. EPA=연합뉴스
하지만 솅겐 지역 회원국인 독일의 인접 국가 사이에선 이번 조치에 대한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게르하르트 카르너 오스트리아 내무장관은 독일 빌트에 “오스트리아도 여유가 없다”며 “독일에서 거부당한 개인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말했다.
독일 내에서도 이번 조치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연정 파트너인 녹색당의 에릭 마르콰르트 EU 의원은 “독일 정부는 국경에서 사람들을 돌려보내기가 쉽다는 인상을 주고 있는데 이는 현실적이지 않다”며 “국경 통제 조치로 독일이 유럽과 솅겐 체제에 가할 피해가 크다”고 파이낸셜타임스에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