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탄핵안' 관건은 국민의힘 이탈 8표… "의원 대다수 탄핵 반대"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6일 저녁까지도 이어진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뉴스1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6일 저녁까지도 이어진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뉴스1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이 통과되려면 국민의힘 의원 최소 8명이 '탄핵 찬성'에 표를 던져야 한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6일 오전, 그간 입장과 달리 사실상 탄핵 동참으로 돌아섰지만 국민의힘 의원들은 대다수가 탄핵 반대에 가까운 기류다.

이날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을 하루 앞두고 여당은 종일 긴급의총을 이어갔다. 한 대표는 의총에서 "오늘 윤 대통령을 만났지만 제 판단을 뒤집을만한 말은 듣지 못했다"고 말했다.

앞서 이날 오전 회의에서 한 대표는 직접 탄핵'이라는 단어는 언급하지 않았다. 대신 "집무정지가 필요하다"고만 했다. 당 관계자는 "여당 대표로서 '대통령 탄핵'을 직접 말하는 건 엄청난 부담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 대표와 달리 국민의힘 의원 대다수는 탄핵 반대를 고수하고 있다. 의총에서도 친윤계·친한계 구분 없이 탄핵을 막자는 데 의견이 모였다. 탄핵안 가결 이후 헌법재판소가 그대로 인용하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정권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도 분출했다. "탄핵하면 쓰나미에 쓸려가는 쓰레기 처지"(권성동 의원), "이재명이 대통령 되면 종북세력과 성남조폭이 움직여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는 발언이 나왔다.

친한계 핵심인 장동혁 최고위원도 "이번 탄핵만큼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고 했고, 한 대표 비서실장 박정하 의원도 "탄핵은 절대 있어선 안 된다"며 탄핵이 아닌 자진 하야 등 다른 선택지를 찾아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 등 여당 의원들이 6일 의총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 등 여당 의원들이 6일 의총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이와 관련, 여당 의원 중 처음으로 탄핵 찬성 입장을 밝힌 조경태 의원은 "(다른 의원들이) 탄핵의 속도가 조금 빠르다는 이야기를 많이 하는 것 같다. 상대(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와 재판을 고려하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대통령 탄핵안은 재적의원 3분의 2인 200명 이상이 찬성해야 가결된다. 범야권 의석이 192석이므로 국민의힘에서 8명 이상 이탈표가 나오면 가결된다. 표결은 무기명 비밀투표로 치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