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당시 군 병력에 일반 병사가 포함됐던 것으로 드러났다. 윤석열 대통령이 "사병이 아닌 부사관 이상 정예 병력만 이동시키도록 했다"고 주장한 것과 배치된다.
윤석열 대통령은 12일 오전 대국민 담화에서 "자유민주 헌정질서를 회복하고 수호하기 위해 국민들께 망국적 상황을 호소하는 불가피한 비상조치를 했지만, 사상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사고 방지에 만전을 기하도록 했다"면서 군 간부급 병력만 동원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날 수도방위사령부가 국회에 보고한 내용은 윤 대통령의 발언과 달랐다. 수방사에 따르면 군사경찰단 75명을 계엄 상황에 투입했으며 이 중 42명이 병사였다. 8명은 장교, 25명은 부사관이었다. 수방사 1경비단 투입 인원 136명 중에서는 병사가 19명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수방사에서만 최소 61명의 병사가 동원된 것이다.
수방사는 국회에 "국회 울타리 내로 진입한 인원은 48명이며, 의사당 본청 건물에 진입한 수방사 병력은 없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애당초 저는 국방장관에게, 과거의 계엄과는 달리 계엄의 형식을 빌려 작금의 위기 상황을 국민들께 알리고 호소하는 비상조치를 하겠다고 했다"며 "그래서 질서 유지에 필요한 소수의 병력만 투입하고, 국회의 계엄 해제 의결이 있으면 바로 병력을 철수시킬 것이라고 했다"고 말했다.
이어 "소규모이지만 병력을 국회에 투입한 이유도 거대 야당의 망국적 행태를 상징적으로 알리고, 계엄 선포 방송을 본 국회 관계자와 시민들이 대거 몰릴 것을 대비해 질서 유지를 하기 위한 것이지, 국회를 해산시키거나 기능을 마비시키려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실제로 국회의 계엄 해제 의결이 있자 국방부 청사에 있던 국방장관을 제 사무실로 오게 하여 즉각적인 병력 철수를 지시했다"며 "병력이 투입된 시간도 한두 시간 정도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