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광주시장이 지난 10월 23일 광산구 광주글로벌모터스에서 열린 '캐스퍼 전기차(EV) 수출 기념식'에 참석해 신수정 광주시의회 의장, 윤몽현 GGM 대표이사, 윤종해 한국노총광주본부 의장 등과 수출 성공 염원 메시지를 부착하고 있다. 뉴스1
국내 첫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인 광주글로벌모터스(GGM) 노사가 전남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에도 임금·단체협약(임단협) 교섭에서 접점을 찾지 못했다. GGM 노조가 조만간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진행하기로 해 파업 우려가 나온다.
25일 전국금속노동조합 광주전남지부 GGM지회에 따르면 전남지방노동위원회(지노위)는 지난 23일 열린 GGM 노사 2차 조정 회의에서 ‘조정 중지’ 결정을 내렸다. 노사 간 견해차가 커 조정안을 마련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2021년 4월 광주광역시 빛그린산단 '광주글로벌모터스(GGM)' 입구에 국내 첫 상생형 일자리 출발을 알리는 현수막이 붙어 있다. 중앙포토
앞서 GGM 노조는 지노위 권고안에 따라 지난 10월부터 7차례에 걸쳐 임단협 교섭을 진행했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하자 지난 12일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이튿날(13일) 지노위에 쟁의 조정을 신청했다. 그러나 양측은 19일 1차 조정 회의에서 임금 인상, 노조 활동 정책 등을 두고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노조는 월 급여 7%(15만9200원) 인상과 사무실 제공 등 자유로운 노조 활동 보장, 직급에 따른 임금 체계 개선 등을 요구했지만, 사측은 이를 거부하고 임금 동결 등을 고수했다. “GGM 창립 배경인 노사민정 합의에 따른 노사상생발전협정서를 넘어서는 노조 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지역 경제계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광주경영자총협회는 지난 19일 성명을 내고 “광주글로벌모터스 설립 근간이 흔들리고 경영 안정성을 저해하는 노조의 노동 쟁의 통보는 즉시 철회돼야 한다”며 “경영진은 노조와의 교섭에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하고 회사가 광주시민의 기업이라는 점을 명심하고 모든 주주의 투자 결정 전제 조건인 ‘노사상생발전협정서’를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광주전남지부가 지난 7월 18일 광주광역시청 앞에서 '노사상생 걷어찬 광주글로벌모터스 규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그러나 노조는 이르면 이달 안에 쟁의권 확보를 위한 전 조합원 대상 찬반 투표를 거쳐 파업 여부·시기를 결정할 계획이다. 앞서 노조는 지난 10월에도 조합원 222명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진행해 투표 참여 조합원 202명 중 190명이 파업에 찬성, 쟁의권을 확보한 바 있다. 노조 관계자는 “사측과 협상은 이어가겠지만, 입장 변화가 없을 경우 노동 쟁의는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회사 측은 노조가 파업하더라도 공장 가동을 이어갈 방침이다.
한편 ‘광주형 일자리’로 불리는 GGM은 현대차의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캐스퍼’를 위탁 생산하고 있다. 광주형 일자리란 근로자가 반값 수준 연봉을 받는 대신 주거·복지 등 사회적 임금을 제공받는 제도다. 문재인 정부 때인 2019년 1월 출범 당시 광주광역시와 현대차·노동계 등 노사민정이 합의한 ‘노사상생발전협정서’에 따라 ‘누적 생산 대수 35만대 달성’ 때까지 상생협의회를 통해 근무 환경·조건 등을 결정하기로 했다. GGM은 올해 전기차 양산 시작과 함께 현재까지 누적 생산 16만대를 기록 중이다. 그러나 올해 초 2개 노조가 잇따라 설립되고 민주노총 가입 후 지난 7월 하나로 통합되면서 ‘무노조·무파업’ 원칙이 담긴 협정서는 사실상 무력화됐다.
2021년 10월 6일 청와대 경내에서 당시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숙 여사와 함께 '광주형 일자리'를 통해 생산된 경형 SUV 캐스퍼를 인수하며 관계자로부터 차 키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광주광역시=김준희 기자 kim.junhe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