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의 마지막 날인 31일 오후 부산 수영구 광안리해수욕장에 2025년 을사년 푸른 뱀의 해를 맞아 설치된 뱀 모양의 조형물과 함께 관광객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송봉근 기자
31일 정부는 내년부터 달라지는 제도를 소개한 『2025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를 발간했다. 특히 내년에는 인구 감소 대응과 청년의 자산 형성 지원 등과 관련해 달라지는 제도가 많다. 이 밖에도 보건‧복지‧고용, 금융‧세제 등 분야에서 국민 생활과 밀접한 주요 변화를 정리해 소개한다.
◇보건‧복지‧고용

지난 11월 한 아이와 보호자가 서울 소재 직장 어린이집으로 향하는 모습. 뉴스1
육아휴직 기간도 기존 1년 6개월로 확대한다. 4번에 걸쳐 분할 사용이 가능하다. 배우자의 출산휴가 기간도 20일로 늘린다.
20~49세 모든 가임기 남녀에게 필수 가임력 검사비를 정부가 지원한다. 29세 이하‧30~34세‧35~49세 주기별로 1회씩 총 3회를 지원하고, 여성에게는 부인과 초음파‧난소기능검사(AMH) 포함 검사에 최대 13만원을, 남성에게는 정액검사(정자정밀형태검사) 포함 검사에 최대 5만원을 지원한다.
1월 1일부터 최저임금은 전년 대비 1.7% 상승한 시간당 1만30원이다. 월급으로 환산하면 209만6270원(주 40시간‧월 209시간 근로 기준, 주당 유급 주휴 8시간 포함)이다.
◇금융‧세제

지난 29일 해병대 2사단 장병이 경기도 김포 한강 하구 중립수역 일대 접경지역에서 수제선 주변에 대한 수색정찰을 하는 모습. 뉴스1
8~20세 자녀‧손자녀에 대한 자녀세액공제 금액도 확대한다. 기존 ‘첫째 15만원, 둘째 25만원, 셋째 이후 인당 30만원’에서 이제는 ‘첫째 25만원, 둘째 30만원, 셋째 이후 인당 40만원’으로 늘린다.
청년의 자산 형성 지원을 위해 청년도약계좌 혜택을 늘린다. 청년도약계좌는 납입금에 따라 정부가 기여금을 지원하는 상품으로, 2025년부터 정부기여금을 월 최대 2만4000원(5년간 최대 144만원)에서 3만3000원(5년 198만원)으로 확대한다.
병사 월 봉급도 병장의 경우 150만원으로 전년 대비 25만원 인상한다. 상병은 120만원, 일병 90만원, 이병은 75만원으로 올린다. 적금에 정부가 지원금을 얹어주는 장병내일준비적금 정부지원금은 월 40만원에서 55만원으로 인상한다. 18개월 복무하고 월 55만원을 납입하는 경우 총 2019만원(원금 990만원+정부지원금 990만원+은행 기본금리 5% 39만2000원)을 적립할 수 있다.
부동산 세제와 관련해선 기존 1주택자가 인구감소지역 주택이나 비수도권 소재 준공 후 미분양주택을 취득할 때 1세대 1주택 특례를 적용한다. 양도소득세와 종합부동산세에서 일부 비과세‧공제 혜택을 준다는 의미다.
◇중소기업‧에너지
기존에는 도시가스 요금을 내기 어려운 지원 대상자가 직접 요금 경감 신청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앞으로는 가스도매사업자, 시‧도지사, 시장‧군수‧구청장이 대신 요금 경감을 신청해줄 수 있다.

정근영 디자이너

정근영 디자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