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현지시간) 미 국방부는 관보를 통해 CATL·CXMT·텐센트 등이 포함된 ‘중국 군사기업’ 명단을 공개했다. 명단에는 이들 외에 오텔로보틱스(드론 제조), 퀙텔(인터넷 연결 모듈 제조), 중국원양해운 등도 추가됐다.
미 국방부는 중국군이 소유하거나 통제하는 중국 기업에 대한 명단을 작성해 관리하고 있다. 현재 명단에 포함된 기업은 총 134개다. 중국의 ‘민군 융합’ 전략에 따라 중국 기업들이 중국군의 현대화를 지원하면서 미국의 국가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일단 미 의회는 2024 회계연도 국방수권법(NDAA)을 통해 국방부가 2026년 6월 30일부터 이런 기업들과 거래하는 것을 금지한 상태다. 이처럼 중국 군사 기업으로 지정된다고 당장 제재나 수출 통제 등의 제약을 받는 건 아니지만, 시장에 미칠 파급력은 적지 않다. 로이터통신은 “명단에 오르면 관련 기업의 (미국 내) 평판에 타격을 줄 수 있고, 해당 중국 기업과 거래하는 미국 단체와 기업도 위협을 느낄 수 있다”고 전했다. 또 미 재무부에 이들 기업을 제재하라는 압박이 가해질 수도 있다.
CATL에 대한 제재는 테슬라, 포드 등 CATL과 협력 중인 미 완성차 기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포드는 CATL과 협력해 미시간주(州)에 35억 달러(약 5조원)를 들여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공장을 건설 중이다. 로이터는 “명단 추가가 미국 내 관련 지역 의원들의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 사이에선 “중국산 배터리에 고전하는 한국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에 반사이익이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트럼프의 관세와 제재 부과로 중국과의 가격 경쟁에 밀리던 이들 기업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단 기대다.
미 국방부의 조치에 해당 기업들은 반발하고 있다. CATL은 “이것은 착오다. 회사는 어떠한 군사 관련 활동에도 전혀 참여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내놨다. 텐센트도 “우리는 결코 군사 기업이나 군수 공급 업체가 아니다”며 “미 국방부와 협력해 오해를 해소할 것”이라고 했다.